*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1945년 해방 이후 국제적 이념 갈등과 여러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얽힌 채 분단되면서 한반도의 운명이 뒤바뀌었다. 분단의 아픔에 더불어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한민족의 ‘비극’으로 기억되고 있다. 같은 민족에게 무기를 겨누어야 했고 이산가족을 낳는 등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 속에 상처를 남긴 동족상잔의 비극 6.25 전쟁. 그 이후 60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면서 한반도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60년간 남북은 서로 다른 이념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체제를 성립하여 독자적인 나라로 성장해왔고 단절된 대화와 끊임없는 냉전시대가 지속되어 왔다. 아직까지도 가족의 생사조차 모르고 사는 이산가족이 8만이 넘고 유해를 못 찾은 국군 전사자는 13만 명에 육박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역사
1. 1950년대, 분단과 전쟁 과정
2. 1960년대, 북한의 박대통령 암살시도
3. 1970년대, 화해의 시작
4. 1980년대, 남북 화해의 본격화
5. 1990년대, 남북 사이의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와 금강산 관광의 개시
6. 2000년대, 변화하는 대북정책
(2) 현황
1. 정치적- 북핵 문제와 6자회담
2. 경제적- 금강산 관광 교류
3. 사회적- 탈북자 문제
□ 천안함 침몰 관련 인터뷰
(3) 개선방향
1. 정치적- 북핵 문제와 6자회담
2. 경제적- 금강산 관광 교류
3. 사회적- 탈북자 문제
① 정부차원
② 민간차원
③ 개인차원
□ 탈북자 인터뷰
Ⅲ. 결론
본문내용
한반도는 광복 직후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를 통해 5년간의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가 결정 되었다. 이로 인해 38도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소련이, 남쪽에는 미국의 군정이 실시되었다. 즉, 남한에는 미국식 자유 민주주의 체제가 도입 되었고 북한에는 소련식 공산주의 체제가 도입 된 것이다. 후에 남북한에 진주한 미·소양군의 점령 정책이 서로 달라 신탁통치에 대한 찬탁과 반탁이 일어났고 사상적 대립마저 고조되면서 국토 분단은 현실로 다가왔다.
이후 북한에서는 1946년 2월 19일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를 통해 실질적인 북한 공산 정권을 세웠고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선포하게 된다. 그리고 남한에서는 1948년 5월 10일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포하게 된다.
참고 자료
권기택 기자, “남북, 오늘 금강산·개성관광 실무회담, 피격사건 진상규명 등 北 측에 선결과제 요구”, 부산일보, 2010. 02. 08.
금강산 기자, ‘6차 남북 장관급회담 결렬’, 한겨레신문, 2001. 11. 14.
김성윤, 『새터민 정착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동북아논총, 2006.
엄기숙 기자, “한국 전쟁 60년…골 깊은 상흔”, KBS뉴스, 2010.01.01.
연합뉴스 민족뉴스 취재본부, 『연합뉴스 통일·북한』, 연합뉴스, 1999.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1999.
전도일 기자, ‘북한에 발목잡힌 금강산관광 사업’, 데일리안, 2010. 03. 26.
전상봉, 『통일, 우리 민족의 마지막 블루오션』, 시대의창, 2007.
정주신, 『현대 탈북자 문제의 이해』, 프리마, 2009.
조용관·김윤영, 『탈북자와 함께하는 통일』, 한울, 2009.
최재원 기자, ‘유명환, “김정일 방중 후 6자회담 복귀 기대”’, 헤럴드경제, 2010. 03. 26.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진, 『북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9.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진,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5.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진,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