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여성영웅소설의 갈래와 구조적 특징
- 최초 등록일
- 2002.05.24
- 최종 저작일
- 2002.05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방향
2. 연구의 범위
Ⅱ. 여성영웅소설의 갈래
1. 삽화형
2. 남성 중심형
3. 여성 중심형
4. 여성 단독형
5. 가문 중심형
Ⅲ. 개별 작품의 구조적 특징
1. 「이대봉전」
2. 「정수정전」
3. 「방한림전」
Ⅳ. 여성영웅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Ⅴ.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방향
고소설 중에는 남복(男服)차림새로 사회적 진출을 꾀하는, 여성영웅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다.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제한되었던 시대로 알려져 온 조선중기 이후에, 이런 유의 소설이 산출되고 폭넓게 애독되었다 성현경, “女偞小說과 「薛仁貴傳」”(『국어국문학』62호, 국어국문학회, 1973)
는 사실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지금까지 여성영웅소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자생’내지 ‘영향’등의 범주들을 둘러싸고 인과론적 설명(causal explanation)에 집중한 감이 있다. 즉, 문학 안팎에서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동인을 추적, 추정해 보는 것이다.
여성영웅소설을 공통성을 띤 한 무리의 작품 군으로 인정하고 본격적인 유형론 내지 작품론을 시도한 연구들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대체로 작품의 전반적인 특질과 의미보다는 부분적인 요소들을 확대시켜 갈래를 나누어 온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경향이다. 특히, 여주인공 일인의 언행, 직위 혹은 남주인공과의 관계양상에만 중점을 두어서 작품의 성격을 지나치게 축소시키거나 오독하지는 않았나 한다. 서세주, “女將軍登場의 古小說硏究”(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81)
.
여성영웅소설은 그 구조적 특성과 주제상의 일면에 내포된 근대 지향적 의식에 걸맞게 그 표현이나 구성, 주제성에 있어서 고소설 일반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관심사이다. 그 다음은 문학 외적인 문제로 특히 여성영웅소설이 산출된 당시의 시대상과 여성독자층을 염두에 두고 논의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처럼 근원적인 문학적 배경으로서의 시대상이나 여성독자의 의식이 아니라 그 결과로 나타나는 문학작품이 그들에게 끼치는 현실적 ․ 이데올로기적 영향을 문제 삼고자 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는 이데올로기의 단순한 「반영」으로 보지 않고, 텍스트가 이데올로기 요소를 생산하고 재생산하며 이것들을 그 고유의 문화적 효과로 변용시킨다.” 린네 퍼스, 김준오 역, “성의 정치학”(『현대시사상』6호, 고려원, 1991)
는 부멜라의 관점은 여성영웅소설을 해석,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유익한 틀이 될 수 있다. “작가는 단지 사회로부터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 영향을 끼친다.” Rean Well ․ Austin Warren, 『Theory of Literature』(United Publishing & Promotion Co.Ltd, 1963) 102쪽
는 견해도 이와 관련된다.
참고 자료
金起東 편, 『活字本 古典小說全集』全 12卷 (亞細亞文化社, 1978)
金起東 편, 『 寫本 古典小說全集』全 30卷 (亞細亞文化社, 1983)
金東旭 편, 『影印 古小說板刻本 全集』全 5卷 (韓國學振興院, 1982)
「明珠奇逢」(文化財管理局 貴重本叢書, 1977)
朴 洙 편, 『 寫本 古小說資料叢書』(保景文化社, 1991)
「碧虛談關帝言錄」(文化財管理局 貴重本叢書, 1980)
「위봉월전」 (사재동 소장본, 정신문화연구원 소재)
「최익선전」 (나손 소장본, 정신문화연구원 소재)
「홍연전」 (나손 소장본, 정신문화연구원 소재)
「홍계월전」(정신문화연구원 소장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