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2. 실험원리
3. 소요 기기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시료의 성상
6. 실험 결과
7. 토 의
※ COD 실험 시 주의사항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수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수질 항목 중 pH, 탁도, 알칼리도, 고형 물질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이것에 이어 마찬가지로 수질 측정 항목 중 하나인 유기 물질을 측정 해 보도록 하겠다.
유기 물질이란 유기 탄소를 포함한 유기화합물을 뜻하며 그 중에서도 탄소가 제일 중요한 원소중 하나이다. 즉 자연 발생 또는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어 물에 용해 되는 물질 이다.1)
이 유기 물질의 측정 항목에는 총 다섯 가지 방법으로 TOC(Total Organic Carbon), ThOD(Theorectical Oxygen Demand), TOD(Tot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COD,와 BOD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 측정을 한다.
COD와 BOD는 대중매체 에서 환경 오염에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빠짐없이 거론되고는 한다. 이렇게 우리가 실생활에서 많이 접해보고 수 없이 들어 왔다는 이야기는 그 만큼 환경 문제, 즉 수질 항목 측정에서 BOD와 COD가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다
COD측정은 크게 CODcr법과 CODMN법 두 가지가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K2Cr2O7를 이용한 CODcr법 실험을 할 것이며 두 가지 차이에 대한 설명은 2.실험 원리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BOD측정은 COD측정과 다르게 실험은 단순하지만 5일 동안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BOD와 COD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을 측정하고 비교 하여 분석 활동을 하게 되고, 이 실험을 통하여 환경 공학에서 많이 쓰이는 COD와 BOD 측정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