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계 각국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1.1. 독일의 언어지도 : G. Wenker의 독일방언연구
1.2. 프랑스의 언어지도
1.3. 이탈리아의 언어지도
1.4. 미국의 언어지도
1.5. 영국의 언어지도
1.6. 일본의 언어지도
2. 언어지리학적 국어 방언 연구
2.1. 일제강점기의 방언 연구
2.2. 광복 이후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2.3. 방언 자료집 및 방언사전의 간행
본문내용
• 언어지리학(linguistic geography) 성립 - 방언학의 출발 배경
소장문법학파 19세기말 라이프찌히 대학을 중심으로 언어의 공시적 불규칙성에 대한 설명을 시도했던 일군의 언어학자들을 소장문법학파(Junggrammatiker) 또는 신문법학파(Neogrammarian)라 함. 이들은 언어변화는 내적질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므로 체계적인 고찰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언어변화의 일반적 원리를 찾아내고자 함.
의 가장 중요한 원리 가운데 하나는 “음성법칙에 예외가 존재하지 않는다(Soud change ara exceptionless)”는 음성변화에 대한 규칙성 가설이다. 그래서 이들은 언어변화의 규칙성과 일관성을 살아 있는 언어, 곧 방언에서 잘 관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음운규칙의 무예외성”을 방언자료에서 확인하기 위해 시작.
그러나 방언자료의 검토 결과, 소장문법학파들이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음운규칙에 예외가 많다는 결론이 나옴.
⇨ 이것이 계기가 되어 방언 연구는 단순히 언어 이론의 수립에 보조자료를 제공하는데 머물지 않고, 언어지리학이라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발전하게 됨.
1. 세계 각국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1.1. 독일의 언어지도 : G. Wenker의 독일방언연구
G. Wenker는 소장문법학파의 음성변화에 대한 규칙성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서 부게르만어의 자음추이를 연구. 1877년에서 1887년 사이에 표준독일어로 쓰여진 40개의 문장을 북부독일지역의 교사들에게 우송해서, 그 목록을 그 지방방언으로 번역해서 되돌려 주도록 요청하는 방식의 통신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1,646장으로 된『독일국의 언어지도』로 제시했는데, 이 연구가 언어지리학의 출발점이 됨.
이 연구의 결과, 고지독일어와 저지독일어에서 발견된 자음추이의 발달 과정은 방언지도상에 계단식분포의 등어선으로 반영됨을 확인. 또한 G. Wenker는 모든 단어는 독자적으로 확산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소장문법학파들의 음성변화의 예외불허용설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는데 공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