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시조] 시조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2.05.21
- 최종 저작일
- 2002.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전공 논문입니다. 시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느껴 보십시오.
목차
서론
본론
1. 남서이 보는 여성의 이미지
2. 성의 표현 방법
3. 님에 대한 기다림의 양상
4. 여성으로의 삶에 있어 불만 표출 방법
5. 정조 관념
결론
본문내용
평시조는 주로 사대부들에 의해 형성되고 창작·향유되어 온 갈래이며, 때로는 일부 여성들이 창작과 향유 과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특히 연행이 활발해지던 조선후기에 이르게 되면, 연창 과정에 기녀를 중심으로 한 여성들의 참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한다.
시조의 형식은 고도로 압축되고 기교적이며 변화성이 강하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따라서 당시 부녀자들이나 평민들이 창작하기엔 무리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녀자들은 효경이나 소학, 여사서 등을 배우고 성현들의 명가를 알면 속하다는 유교적 사회의식이 만연하고 부녀자가 시조를 함부로 지어서 외간에 퍼짐은 불가하다는 인식 속에서 언문으로 쓰는 시조형식은 한시에 비해 외면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평시조가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에게 호응을 받지 못하고 기녀들에 의해서 향유 전승된 원인은 기녀들이 여락의 제공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교양을 넓히고 문학과 친숙해졌으리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지식계급과의 폭넓은 접촉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녀들은 사대부 문학을 익히고 모방의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들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기녀 특유의 독특한 문학세계를 창출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하는 여성이미지를 다루는 평시조의 주된 작품은 사대부의 작품과 당시 기녀들에 의해 창작된 기류작품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작품의 수가 많지는 않지만 궁녀들에 의하여 쓰여진 시조도 아울러 살피도록 하겠다.
사설시조가 나타나게 된 시기는 사회적으로 임·병 양난을 겪으면서 급격한 변화를 가지게 되었으며 실학 사상이 새로운 지도 이념으로 부상하던 시기였다. 문학에 있어서도 산문 중심 문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피지배계층이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부상하게 되었던 시기이다. 사설시조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17세기에 등장하였으며 크게 성행한 것은 18세기였고, 그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던 것은 평민 가객이었다. 즉 시조가 평민문학으로 확대되면서 생겨난 문학이다.
형식에 있어서도 종장은 평시조와 비슷한 틀을 유지하되 초, 중장 혹은 그 중 어느 일부가 4음보 율격의 정제된 구조에서 현저하게 이탈하여 장형화된다. 대개 중장이 길어지는데 시조의 산문적 경향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용에 있어서는 생활과 밀착된 현실 감각을 담음으로써 관념적인 것보다 구체적인 이야기를 주 내용으로 하며, 평민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사설시조에 나타나는 여성 작가층과 여성의 이미지 표출은 평시조와 비교하여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평시조와 사설시조를 비교 분석하여 거기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김용찬,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양상과 의미〉, 한국시가연구8, 2000.
김희옥, 〈조선조 여류시조에 나타난 애정의식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998.
국어국문학회, 『고시조 연구』, 353쪽, 1997.
김경남 외 2명, 『韓國文學과 女性』, 229쪽,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