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고려사 악지 원전 언해본 정리

*원*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0.06.26
최종 저작일
2009.11
22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EasyAI 홍보배너

소개글

▣ 속악
고려의 속악은 여러 악보들을 상고하여 수록한다.
다음의 동동(動動) 및 서경(西京) 이하 24편은 모두 이어(俚語-비속한 말)를 사용한 것이었다.

**************************깔끔한 정리입니다. 그대로 쓰시면 공부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있을겁니다.

목차

▣ 목차

1. 악기 - 1
2. 무고
3. 동동
4. 무애
5. 서경 - 4
6. 대동강
7. 오관산
8. 양주 - 5
9. 월정화
10. 장단
11. 정산
12. 벌곡조 - 6
13. 원흥
14. 금강성
15. 장생포
16. 총석정 - 7
17. 거사련
18. 처용
19. 사리화
20. 장암
21. 제위보 - 9
22. 안동 자청
23. 송산
24. 예성강
25. 동백 나무
26. 한송정
27. 정과정 - 11
28. 풍입송
29. 야심사
30. 한림 별곡
31. 삼장
32. 뱀과 용 - 15
33. 자하동

▣ 삼국속요
고려 때에는 신라, 백제, 고구려의 악 모두 사용하였으며 악보도 편찬하였다. 그런 까닭에 여기에 첨부하였으나 가사가 모두 이어로 되었다.

▣ 신라

▣ 백제

▣ 고구려

▣ 속악을 사용하는 절차

본문내용

1. 樂器.
○ 玄琴[絃六]琵琶[絃五]伽倻琴[絃十二]大琴[孔十三]杖牙拍[六枚]無▩[有粧飾]舞鼓琴[絃二][孔七]中[孔十三]小[孔七]拍[六枚].
▣ 악기
현금(玄琴)[6줄] 비파(琵琶)[5줄] 가야금(伽倻琴)[12줄] 대금(大琴)[12구멍] 장고(杖鼓), 아박(牙拍)[6매] 무애(無)[장식이 있다] 무고(舞鼓), 해금(琴)[2줄] 필률()[7구멍] 중금(中)[12구멍] 소금(小)[7구멍] 박(拍)[6매]
2. 舞鼓.
○ 舞隊[衫]率樂官及妓[樂官朱衣妓丹粧]立于南樂官重行而坐 樂官二人奉鼓及臺置於殿中諸妓歌井邑詞鄕樂奏其曲 妓二人先出分左右立於鼓之南向北拜訖手起舞 俟樂一成兩妓執槌起舞分左右俠鼓一進一退 訖繞鼓或面或背周旋而舞 以槌擊鼓從樂節次與杖鼓相應 樂終而止 樂徹兩妓如前伏興退.
○舞鼓侍中李混謫宦寧海乃得海上浮査制爲舞鼓其聲宏壯其舞變轉翩翩然雙蝶繞花矯矯然二龍爭珠 最樂部之奇者也.
▣ 무고
춤의 대오[검은 옷을 입는다]는 악관과 기녀[악관은 주황색 옷을 입고 기녀는 단장(丹粧)한다]들을 거느리고 남쪽에 서고 악관들은 두 줄(重行)로 앉는다. 악관 2명이 북과 북 받침을 가져다가 궁전 중앙에 놓으면 여러 기녀들이 “정읍사(井邑詞)”를 노래하고 향악(鄕樂)으로 그 곡조를 주악하여 맞추어 준다. 기녀 2명이 먼저 나와 좌우로 갈라 북(鼓) 남쪽에 서서 북편을 향하여 절하고 꿇어 앉아 손을 여미며 일어서서 춤을 춘다. 주악이 1회 끝날 때를 기다려 두 기녀가 북채를 잡고 일어나서 춤을 추면서 좌우 편으로 갈라지며 북을 끼고 나갔다 물러났다 하면서 춤을 춘다. 그것이 끝나면 북을 싸고 돌면서




▣ 속악을 사용하는 절차
원구(園丘), 사직(社稷)에 제사할 때와 태묘(太廟), 선농(先農), 문선왕묘(文宣王廟)에 제향할 때에 아헌(亞獻), 종헌(終獻), 송신(送神)에 모두 향악을 교주한다.
왕비, 왕태자, 왕자, 왕녀를 책봉할 때와 왕태자에게 관례(加元服) 시키는 의식에서 손님이 휴계실로 나가서 휴식할 때와 빈주(賓主)를 인도하여 신과 홀(笏)을 제거하고 나와서 정한 위치에 섰을 때에는 모두 영선악(迎仙樂)을 주악한다.
문종 27년 2월 을해일에 교방(敎坊)에서 아뢰기를“여제자(女弟子) 진경(眞卿) 등 13명에게 전습시킨 도사행(蹈沙行) 가무를 연등회(燃燈會)에 사용하기를 바랍니다” 라고 하니 왕이 그 의견대로 시행할 것을 명령하였다.
11월 신해일에 팔관회(八關會)를 베풀고 왕이 신봉루(神鳳樓)로 거동하여 교방악(敎坊樂)을 감상하였는데 여제자 초영(楚英)이 아뢰기를 “새로 전습한 가무는 포구악(抛毬樂)과 구장기 별기(九張機別伎)인바 포구악에는 제자가 13명이요, 구장기에는 제자가 10명입니다” 라고 하였다.
31년 2월 을미일에 연등회를 베풀고 왕이 중광전에 거동하여 교방악을 감상하였는데 여제자 초영이 아뢰기를 “왕모대(王母隊)가무의 전체 대오 인원이 55명인바 춤을 추면서 네 글자를 형성하는데 군왕만세(君王萬歲)나 혹은 천하태평(天下太平) 이란 글자를 나타냅니다” 라고 하였다.
공민왕 14년 10월 경술일에

참고 자료

없음

자료후기(1)

*원*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영화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시사회 초대 이벤트
  • 뮤지컬 마타하리
탑툰 이벤트
고려사 악지 원전 언해본 정리 무료자료보기
  • 뮤지컬 마타하리
AI 챗봇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