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관계의 역사적 흐름과 방향
*진*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과 중국 관계를 역사적인 흐름과 현재의 관점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본보고서로써 많은 논문과 책을 참고하여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
한,중관계에 대한 총 정리라 볼 수 있습니다.
만족하실만한 자료라 자부합니다.
목차
Ⅰ. 서Ⅱ. 양국 간 관계의 역사적 배경
ⅰ. 고대 - (아편전쟁 이전까지)
ⅱ. 근대 - (아편전쟁 이후부터 1919년 5.4운동 이전까지)
ⅲ. 현대 - (5.4운동부터 중화민국 건국 이전까지)
Ⅲ. 당대의 한중 관계
ⅰ. 한중 관계의 본격적인 전환점, 한중 수교.
ⅱ. 한중 관계의 중요성
ⅲ. 한중 양국이 서로의 관계에서 각자 목표로 하는 것,
ⅳ. 중국이 고려하는, 한국과의 관계 이외의 다른 변수들.
ⅴ. 한중 관계를 방해하는 요소들
Ⅳ. 결
Ⅴ. 참고문헌
ⅰ. 참고 서적
ⅱ. 참고 논문
ⅲ.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Ⅰ. 서중국에 있어서 한반도는 안보상 더 없이 중요한 지역이다. 그렇기에 일찍이 중국은 한반도의 전략적 위치에 대하여 “중국의 머리를 치려는 해머 모양으로 놓여 있으면서 일본의 심장부를 겨냥한 단검 모양”이라고 했던 것이다. 과거에도 그러했지만 19세기 말로 접어들면서부터 중국은 일본의 대륙진출을 막고, 소련의 남진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한반도를 더욱 중히 여기게 되었다. 한반도는 일본에게는 대륙진출로의 교량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소련에게는 남진 정책의 전진기지로서의 위치를 갖기 때문인데, 두 세력을 견제하고자 하는 중국에게는 한반도가 오히려 방파제나 성곽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적인 지역이었다. 이러한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인식은 지금까지도 크게 변함 없이, 대한반도 정책에서 그대로 적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인 교류로까지 확대되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애초에 양국은 서로가 서로에게 있어 결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시기에 따라 한국이 동북아시아에 그 맹위를 떨친 적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한국은 중국이 운영하는 거대한 문화지대의 일부분으로서 그 질서와 조화 속에 국가를 운영해왔다. 중국은 역사 이래로 광활한 영토환경과 문화적 우월성을 바탕으로 대국주의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외부세계와 독립되어 자급자족의 경제체제를 아주 오랫동안 유지하며 살아오다 보니 전형적인 대륙 농경국가의 모습을 보였다. 보수적이며 현상 유지 성향이 강한 중국은 주변국가를 무력 침공하여 직접 다스리는 대신 조공제도와 절기에 따른 사신 교환 등의 간접적인 수단으로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질서를 관장했다. 서방의 연구자인 J. K. Fairbank는 중국의 세계질서에 대한 공간개념으로 3가지 지대를 설정했다.
공간 모델 해당 지역
중국 문화 지대
(The Sinic Zone) 조선, 일본, 류큐(오키나와), 안남(베트남), 캄포챠, 샴(태국),
인도차이나 반도, 동해안 등 7개국
내륙 아시아 지대
(The Inner Asian Zone) 몽고, 티벳, 중앙 아시아, 서남 아시아 등 50개국
외곽지대
(The Outer Zone) 외곽 지대 50개국
참고 자료
ⅰ. 참고 서적 연구총서(08) - 한중 외교관계와 조공책봉
(고구려연구재단, 방향숙, 신채식, 이석현, 민경문, 이영옥 지음)
새로운 중국과 한국 – 한중 관계의 역동성을 위하여(나남출판, 이원종 지음)
대만의 대학 역사교재 분석 중국근대사(1840년~1910년) 속의 한중 관계사를 중심으로 (이은자)
한중 관계사2, 김한규 지음, 아르케
한국 근ㆍ현대사, 박건호ㆍ임정덕 지음, 대성교육출판(주)
ⅱ. 참고 논문
남종호, 「전환기 한중 양국관계와 전망」, 『중국연구』, 제 43권. 2008
문흥호, 「동북아시대와 중국; 중국의 대외전략: 동북아 및 한반도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 21권 제 1호, 2005
박철진, 「한중 수교 전후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변화」, 『동북아연구 (구 통일문제연구)』, Vol. 21, No.1, 2006
오일환, 「중국 대외정책에 내재된 민족주의 요인 연구 -한중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 44호. 2008
오일환,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협력 구상과 한-중 국가협력」, 『국제지역연구』, 제 12권 제 2호, 2008
이동률, 「스페셜 리포트: 중국 대외 관계의 새로운 변수들; 한국 새 정부 출범과 한중 관계 -미중 관계의 영향 더 커질 것……내실 가다듬을 때-」
『CHINDIA journal』 제 19호, 2008년
장공자, 「21세기 중국의 국가전략과 한반도정책」, 『한국동북아논총』 제 24집, 2002
정철수, 「한중 관계의 쟁점분석」, 『국제지역연구』, Vol.9, No.2, 2006
ⅲ. 참고 사이트
http://cafe.naver.com/nazzi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03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중관계의 역사적 조명 24페이지
- 한국과 중국의 관계 발전 과정과 오늘날 쟁점 12페이지
- 한국분단사 논문 19페이지
- 중국의 통일 정책 4페이지
- 한국과 중국의 역사관계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