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생활의 중심지- 세안
- 최초 등록일
- 2010.06.14
- 최종 저작일
- 2009.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초등학교 3학년 1-1. 고장 생활의 중심지에 관한 세안 지도안입니다.
단원의 개관 및 목표, 지도계열, 지도계획, 과제분석, 유의점, 평가계획, 수업자의 의도, 설문조사 등 수업계획안 등 모든 내용을 세부적으로 담았습니다.
성공한 수업의 세안이니 많은 도움 되실 겁니다.
목차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지도 계열
본문내용
1. 단원명 : 3-1-1. 고장 생활의 중심지
2. 단원의 개관
가. 교재관
이 단원은 고장 생활의 중심이 되는 지역과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과의 상호 관계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학습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장 사람의 일원으로 고장 생활에 적응하고, 고장 발전에 기여하는 자세를 기르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첫째, ‘시장과 우리 생활’에서는 의식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고장의 시장을 견학, 조사함으로써 상점의 종류, 판매되는 물건, 물건을 사가는 사람 등을 파악하고, 시장을 중심으로 한 물자의 유통이 우리 고장을 하나의 고장으로 통합시켜 주고 있다는 것과 물자 교류를 통하여 우리 고장이 다른 고장과 맺고 있는 관계 등에 대하여 이해하게 한다. 심화 과정에서는 물자 이동을 중심으로 고장간의 상호 의존 관계와 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른 시장 형태의 변화를 파악하게 한다.
둘째, ‘이어 주는 길’에서는 교통의 개념을 바탕으로 고장의 역과 버스터미널을 견학하여 노선, 이용하는 사람의 수와 그 이유 등을 조사하고, 역과 터미널을 중심으로 한 인구 이동이 우리 고장을 하나의 고장으로 통합시켜 주고 있다는 것과 인구 이동을 통하여 우리 고장이 다른 고장과 맺고 있는 관계 등을 파악하게 한다. 심화 과정에서는 고장의 교통과 물자유통의 문제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파악하게 한다.
나. 지도관
3학년은 고장의 범위가 1, 2학년 ‘슬기로운 생활’의 가정・이웃・동네의 범위를 벗어나 시・군(구)의 범위로 확대되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간 확대에 따른 이해가 부족하며, 생활의 중심지에 대한 개념이 자리 잡히지 않았다. 따라서 조사, 견학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토의 및 탐구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지도하고자 한다.
본시에서는 의식주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여러 가지 생활용품을 수집, 분류해보면서 꼭 필요한 물건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토의하는 활동을 통해 생활 용품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