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문학의 전반적인 특징
- 최초 등록일
- 2010.06.12
- 최종 저작일
- 2010.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삼국시대 문학의 전반적인 특징 및 삼국시대 문학에 대해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삼국시대 문학이라는 명칭
2. 삼국시대 이전의 문학
3. 삼국시대의 문학
(1) 전반적인 특징
(2) 각 나라별 특징
4. 삼국시대 이후의 문학
5. 삼국시대 문학의 종류
(1)향가
(2)한문학
(3)구비문학
(4)희곡과 놀이
(5)불교문학
6. 삼국시대의 문학 담당층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삼국시대의 문학이라면 대체로 삼국의 형성기부터 통일신라시대(남북국시대)까지의 것을 말한다. 역시 흔히 생각하는 것으로 향가가 있다. 이두의 등장으로 많은 향가가 기록되었다.. 또한 이전부터 중국에서부터 들어온 한문으로도 많은 문학작품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많은 설화문학의 원형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희곡의 원형이 생겼고, 놀이도 계속 이어졌다.
각 나라의 사상적 기반인 불교와 유교의 정신이 든 작품이 쓰여 지고, 동시에 민속적인 내용이 담긴 작품들도 보인다.
Ⅱ 본론
1. 삼국시대 문학이라는 명칭
위에서도 밝혔듯이, 삼국시대의 문학이라는 이름 말고도 각각 그 장르를 연구하는 사람들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동일은 이 시기를 중세 전기 문학으로 분류하였고, 조윤제는 문학의 시대구분론에서 形成時代를 삼국시대의 문학이라고 보았다. 김동욱은 上代文學에 신라시대의 문학이 들어간다고 하였다. 또 이명선은 조선시대까지를 아울러 중세기의 봉건문학이라고 보았다. (삼국시대의 앞부분은 고대문학이라고 본다.)
위의 의견 외에도 여러 의견이 있으나, 여기서는 가장 인지도가 높다고 생각해서, 삼국시대 문학이라는 이름을 쓰기로 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형성시대라고 말한 의견에 가장 공감한다. 왕조 교체설로는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2. 삼국시대 이전의 문학
삼국시대 이전의 시기는 한자 이전의 시대로서 구구전승 되어 온 구비문학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학은 원시시대의 문학과 고대의 문학으로 삼국 이전의 고조선 시기나 부여, 옥저, 예, 맥 등의 시기의 문학이다.
원시시대의 문학은 구석기 시대에서는 주로 사냥을 하여 생명을 이어갔기 때문에 사냥이 잘 되기를 기원하는 주술이나 의식 등을 표현한 노래가 그 주를 이루었을 것이다. 그리고 신석기 시대에는 정착을 함에 따라 자연스레 농사를 짓게 되고 농업에 관련된 노동요나 날씨에 관한 제사 의식에 관여된 노래가 그 문학의 주를 이루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참고 자료
金圭泰, 韓國文學의 理解, 1986, 正音文化社,
金東旭, 國文學史, 1991, 日新社
朴乙洙, 石一均, 新韓國文學史, 2000, 아세아문화사
이명선, 조선문학사, 1990, 범우사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997, 지식산업사
趙潤濟, 韓國文學史, 1997, 探求堂
國文學槪論, 敎學硏究社, 1995, 李鍾出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