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작품을 통해 보는 유토피아-유토피아의 개념과 사회적역할, 문제점과 한계
*지*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문학작품을 통해서 보는 유토피아-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유토피아의 개념과 사회적역할, 문제점과 한계
유토피아는 유토피아(utopia)는 ‘u` 와 ’topia(장소)` 의 합성어로써 그리스어에서 eu(좋은곳)과 ou(없는곳)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말이다. 이 유토피아라는 합성어는 이상사회나 이상사회를 만들려는 정책을 뜻하는 대명사가 되었다. 이 유토피아는 단순히 좋지만 없는 곳이라는 ‘관념적 유희‘의 성격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하고 개혁하여 미래를 바란다는 점에서 단순한 이상사회, 몽환적 꿈과는 다르다. 이런 유토피아의 성격과 기능을 살피기 위해서 실패한 유토피아를 꼬집는 내용의 디스토피아 문학을 살펴 보았다. 디스토피아 문학은 유토피아의 정치적 성향이나 부정적 영향을 강하게 꼬집고 있다. 외국의 디스토피아 문학으로는 자먀틴의『우리들』조지오웰의『1984』올더스 헉슬리의『멋진 신세계』가 있다. 이 작품들은 19세기말,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을 통해 다가올 시대로 인식되었던 유토피아가 점점 허물어져가고 실패 하는 것을 바라보면서 자신들이 만들려 했지만 실패한 유토피아에 대하여 고발하고 꼬집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정치적 유토피아의 여러 어두운 면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디스토피아계열의 문학들이 있는데, 바로 최인훈의 『광장』과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외국의 디스토피아 문학들과는 다르다. 외국의 디스토피아 문학은 주로 미래의 완성 되었으나 어두운 면을 지닌 유토피아 사회를 보여주면서 유토피아의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내는 반면에 『광장』은 분열된 우리나라의 당시 상황을 보여주면서 북쪽과 남쪽모두 어느 곳도 유토피아가 아님을 밝히고 있다. 그에 비해 『당신들의 천국』은 그저 실패한 , 실패할 유토피아를 고발하는 내용이 아니라 유토피아로의 여정을 보여주면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광장』은고발하는 성격만 지니고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길은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신들의 천국과 확연히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목차
서론-1.연구목적및 문제제기
2.연구방법
본론
가. 유토피아에 대하여
1) 이상사회로서의 유토피아의 기본적 개념과 특성
2) 유토피아의 기능과 효용
나. 디스토피아 문학
1)외국 작품- 자먀틴의 『우리들』
조지오웰의『1984』,
올더스헉슬리의『멋진신세계』
2)우리나라 작품- 최인훈의 『광장』
이청준의『당신들의 천국』,
결론
본문내용
인간이 소망하는 이상 세계와 인간이 만들어 가는 역사 세계는 일치하지 않고 있다. 유토피아는 관념적, 도덕적 관점에서 보면 바람직한 곳이지만 역사적 현실에서 보면 존재하지 않는 공허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토피아가 공허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한편으로 현실성과 사실성을 반영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유토피아는 초월적이면서 현실적이고 허구적이면서 사실적이다. 그것은 허구와 사실의 결합이며 현재와 미래와의 대화이다.유토피아의 가장 중요한 효용은 비판 정신과 개혁 사상이다. 유토피아가 추구하는 완전 사회는 마땅히 있어야 할 당위의 세계이며 규범의 세계이다.
유토피아적 이상들은 기존 현실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비판하는 도구로 오랫동안 작용해 왔다. 이 점에서 유토피아는 현실 판단의 기준이 되며 현실 비판의 준거가 된다. 이러한 기능은 디스토피아 문학에서 더욱 확연하게 드러난다. 디스토피아는 실패한 유토피아라는 점에서 유토피아와 반대되는 개념인 것 같지만 또한 유토피아는 당대의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한편 이상적인 미래의 모습을 글낸다. 현실을 뛰어넘는 새로운 사회의 질서와 형태를 보여 줌으로써 아직실현되지는 않은 세계를 실현가능한 세계로 전망을 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유토피아를 추구한다는 것은 현실을 토대로 바람직한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일종의 사고실험이다.
그러나 이런 유토피아의 바람직한 기능과 효용이 있지만 유토피아의 추구는 한편으로 문제점과 한계도 가지고 있다. 유토피아의 문제점은 디스토피아라는 것이 잘 보여 주는데, 이것은 실패한 유토피아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용어이다. 흔히 우리가 전체주의의 붕괴를 디스토피아라고 보기도 하지만, 디스토피아 문학에서는 꼭 전체주의만을 디스토피아로 보지 않는다. 다음 장에서는 디스토피아 문학들을 통해서 유토피아의 문제점과 한계성, 또한 당대 사회현실인식을 살펴보도록 하자.
나. 디스토피아 문학
1)외국 작품- 자먀틴의 『우리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유토피아 비교 8페이지
- 가타카 감상문 2페이지
- [독후감] 『유토피아』에 대한 小考 3페이지
- 조지 오웰 <1984년> 로 생각해보는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6페이지
- 이상적인 교육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