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최초 등록일
- 2010.06.05
- 최종 저작일
- 201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목차
<요 약>
1. 논의 과제의 국어학적 가치
2. 알타이어족설과 반알타이어족설
2.1. 알타이어족설과 한국어 계통 연구사
2.2. 반알타이어족설
3. 알타이어족과 반알타이어족설의 문제점
3.1. 알타이어족설의 허구
3.2. 반알타이어족설의 오류
3.3. 동북아시아어족과 한국어
3.4. 정리 및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논의 과제의 국어학적 가치
국어의 계통론을 말하면 가장먼저 이야기 되는 것중에 하나가 알타이제어론이다. 이러한 인식은 알타이어 학자인 핀란드의 람스테트(Ramstedt 1949)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몽골어, 만주-퉁구스어, 튀르크 어에다가 우리 국어를 첨가시키면서 알려져 온 견해이자. 이러한 계통론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옹호 또는 반대되어 왔다. 이렇듯 국어의 알타이제어설은 쉽게 답안을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국어 갈래론의 핵심인 알타이제어설의 찬반 견해의 근거들을 살펴봄으로서 국어가 가지는 보편, 특수적 특징을 알아보게 된다면 국어의 특징에 대해 더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2. 알타이어족설과 반알타이어족설
2.1. 알타이어족설과 한국어 계통 연구사
알타이어족설에 반대하는 이론도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만주․투우스어, 몽골어, 터키어 등과 더불어 한국어도 상당히 유사한 공통 특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타이제어와 공통 특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①음운론적으로 모음조화가 나타난다. 특히 몽골문어에는 남성모음(a,o,u)과 여성모음(e,ǒ,ǔ)이 같은 계열끼리만 공존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 중세국어에서도 한 형태소 안의 홑소리들은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섞임을 잘 허용하지 않으며 토씨나 씨끝에서도 보음조화가 반영되었다.
②알타이제어의 모음 제계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이 있다.
③어두에 유음이나 자음군이 오는 것을 기피하는 자음 조직상의 제약이 있다. 유음 /r/은 어두 자음으로 알타이제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④알타이제어는 첨가어로서 교착성을 가지고 있다. 국어와 알타이제어의 파생과 굴곡은 접미사에 의하여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체언의 준굴곡도 마찬가지이다.
참고 자료
최기호(2002), ‘한국어 계통과 형성의 문제점’, 몽골학 16호, 한국몽골학회 241-267
최기호(1995), ‘알타이어족설의 문제점, 한글 227호, 한글학회 71-106
고영근(2005), 국어학연구사-흐름과동향-, 서울 : 학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