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섭식장애와 충동통제장애
제1절 섭식장애
제2절 충동통제장애
제3절 기타의 정신장애
본문내용
2) 허위성장애의 특징
- 경제적 보상, 법적책임의 회피 등이 없음이 분명하며, 환자역할을 하려는 심리적 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될 때 진단이 내려짐
ex) 스스로 철사를 삼켜 위장에 궤양을 만든 후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입원하거나 정신장애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기 위해 향정신성 약물을 몰래 복용하는 환자 → 현실적인 이득을 발견할 수 없음.
- 허위성장애와 꾀병의 차이점
․ 허위성 장애 : 환자 역할을 하는 것 외에 어떠한 현실적 이득이나 목적이 발견되지 않음
ex) 경제적 보상, 법적책임회피 등
․ 꾀병 : 의도적으로 증상을 만들거나 과장하지만 목적을 지님
ex) 형벌회피, 보상금취득, 사회적 책임 회피 등
- 유병률은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흔하다.
- 한두 번의 입원으로 호전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만성적 경과를 나타내며 여러 병원을
전전한다.
- 발병 시기는 성인초기이며 신체적 또는 심리적 장애로 입원한 후에 시작된다.
- 지속적인 피학적, 자기파괴적 행동을 나타냄: 무의식적인 죄책감을 덜고자 하는 시도,
타인을 향한 증오나 적개심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해석. 자기 파괴적 또는 피학적 행동은 거부적인 부모나 가족에 대한 복수이며 그 책임은 의사에게 전가.
3) 허위성장애의 발병원인
-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무시, 학대, 버림받음의 경험
:초기경험을 통해 환자는 자기가치감을 획득하지 못하고, 의존욕구의 좌절을 경험
→아동기나 초기 청소년기에 실제적 병으로 입원경험이 있고, 누군가의 돌봄을 받고 회 복된 경험이 있고, 과거에 원했던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재구성 →부모의 모습을 의 사, 간호사에게 기대.
4) 허위성장애의 치료
-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을 허위성 장애로 빨리 인식함으로써 환자가 고통스럽고 위험한 진 단 절차를 밟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