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렘르네상스
배경 : 1920년대부터 시작된 흑인 인구의 대이동 → 미국 흑인의 20%인 약 200만 명이 남부테서 북부 또는 중서부로,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 할렘에서 흑인들의 공동체 생활은 할렘르네상스를 가속화시키는 하나의 원인
전개 : 제 1차 세계대전을 성공적으로 끝낸 결과로 생긴 백인들의 흑인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심 + 자유분방한 이국적 원시인의 살아있는 본보기를 흑인이라고 생각함 + Jazz Age, 그 당시의 Jazz는 미국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었음(Jazz는 흑인음악) → 흑인의 문화와 음악에 관심 증가, 이러한 관심에 힘입어 흑인 작가들의 활발한 활동이 시작됨. 근거지를 할렘 ☞ 할렘르네상스
평가
to 백인 : lost generation이 물질주의, 소비주의에 대항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흑인의 원초적 아름다움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할렘 르네상스가 탄생
to 흑인 : 흑인과 백인의 결합, 흑인들의 경제적 안정과 이를 통한 인텔리계급의 형성, 흑인 사회 내부의 자의식 성숙, New Negro로 대변되는 흑인 지식인 공동체의 출현이 할렘 르네상스로 이어짐
→흑인 문화에 대한 백인들의 관심과 흑인들의 의식 성장이 함께 할렘 르네상스를 발생시켰다고 볼 수 있다.
20세기 흑인문학 대표 작가와 작품
-Giovanni`s Room(1956)
파리에 사는 젊은 미국인이 동성애와 이성애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 이전까지의 흑인작가와는 달리, 백인에 대한 항의로 일관하지 않고 흑인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미국인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추구
-Another Country(1962)
미국인의 의미, 그리고 흑인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려는 사람들의 고뇌
Tony Morrison(1931~)
-현대 흑인 여성문학의 대표적인 인물
-이전의 흑인 소설들의 주로 인종간의 갈등이나 충돌을 주요 주제로 삼았다면 토니 모리슨은 흑인들만의 세계 그 자체를 다룸
-Sula(1973)
40여 년에 걸친 흑인 공동체 이야기를 그대로 되살린 작품. 토니 모리슨은 흑인들의 삶의 모 습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있는 그대로 보여줌
-좋은 것과 나쁜 것, 바른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등 이분법적이고 상호 모순적인 두 속성을 상호 보완적인 속성으로 보는 아이러니의 기법을 사용함
-1993 노벨문학상 수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