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총체적 고찰
윤리적 입장, 특히 불교윤리에서 바라본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리포트 입니다.
에이플러스 레포트 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뇌사 및 장기이식이란?
1. 뇌사문제의 등장 배경.
2. 뇌사의 개념
3. 뇌사의 판정
4. 장기이식술의 개념
Ⅲ. 불교계의 입장
1. 뇌사 불인정, 장기이식 반대의 입장
2. 뇌사 인정, 장기이식 찬성의 입장
Ⅳ. 나의 의견
Ⅴ. 맺음말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머리말
모든 생명을 가진 존재는 죽음을 두려워한다. 나의 생명이 소중한 만큼 타인의 생명도 귀중하고, 그렇기 때문에 내가 살기 위해 남의 생명을 죽이는 일은 옳지 않다. 불교는 어느 종교보다도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는 종교이다. 그 생명의 기준에는 인간은 물론이거니와 동물, 식물, 미물인 벌레 한 마리의 생명까지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이렇게 인간 이외의 모든 생명을 죽여서는 안된다는 불살생계가 강조되는 것이 불교의 기본이다.
오늘날, 죽어가는 한 인간의 장기가 다른 생명을 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뇌사자의 장기이식이 가능해질 정도로의 의학 발달은 수혜자 생명 보존의 측면에서는 의학의 눈부신 발전일는지 모르나, 기증자 생명의 측면에서는 다르게 생각될 수 있다. 뇌가 죽으면 생명의 가치는 없는 것인가. 바로 여기에서 현대가 만들어낸 다른 형태의 죽음이 등장한다. 인간이 죽는다는 것은 심장이 멈추게 된 순간부터 라는 것이 의학계를 비롯한 전 사회적인 합의였으나 현대는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에 의한 뇌사라는 다른 형태의 죽음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와 함께 이 죽음이 진정한 죽음인가하는 논점을 만들었다.
죽음의 문제만큼 인간에게 있어 절실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없다. 그만큼 뇌사와 관련한 사회는 관심은 모아지지 않을 수 없는데, 과연 뇌사와 장기 이식이란 무엇이고 그에 관한 불교계의 입장은 무엇인지 그리고 나의 의견은 어떤 입장인지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Ⅱ. 뇌사 및 장기이식이란?
1. 뇌사문제의 등장 배경.
뇌사가 중요문제로 부각되게 된 근본적 배경은 비약적으로 발달한 장기이식술과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뇌사자의 급증을 들 수 있다. 심장사를 전제로 할 경우 각막이나 신장의 이식은 가능하지만 심장, 간, 폐 등의 장기이식은 의학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장사 이전에 뇌가 죽은 단계에서도 장기를 꺼내 다른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도록 하자는 논의가 일어난 것이다
참고 자료
⑴ 참고문헌
권기종, 「불교에서 본 뇌사와 장기이식(찬성)」, 『多寶』Vol.2, 1992.
신현숙, 「뇌사에 대한 불교적 입장(반대)」, 『多寶』Vol.6, 1993.
김명우, 「불교에서는 장기이식을 어떻게 보는가」, 『石堂論叢』Vol.33, 2003.
박선영, 「뇌사문제에 대한 불교적 진단」, 『多寶』Vol.7, 1993.
곽만연, 「장기이식에 관한 불교적 관점」,『불교평론』3회분재 (통권16-18), 2003-2004.
오가와 이치죠, 「뇌사·장기이식에 대한 불교인의 시각」, 『多寶』Vol.6, 1993.
오가와 이치죠, 「뇌사, 장기이식에 대한 불교의 비판」, 『불교와 문화』Vol.6, 1998.
전천실,「腦死,과연 죽음인가」, 『世界와 나』Vol.30, 1992.
불교생명윤리정립연구위원회, 「현대사회와 불교생명윤리」, 조계종 출판사, 2006.
⑵ 참고사이트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http://www.konos.go.kr/
재단법인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http://www.donor.or.kr/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http://organ.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