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 모형
계층형 데이터 모형
망형 데이터 모형
객체지향 데이터 모형
기타 데이터베이스
본문내용
레코드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계층형, 망형, 관계형 등의 논리적 모형으로 구분
오늘날에는 관계형 데이터 모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관계형(Relational) 모형 개요
2차원 table인 relation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각 relation은 1개의 entity type을 표현
각 레코드는 1개의 entity occurrence를 표현
관계형 모형의 mapping rule
1 : 1 - 어느 한쪽의 주키를 다른 쪽의 외래키로 삽입
1 : n - 1 측의 주키를 n 측의 외래키로 삽입
m : n - 양측의 주키를 모아 새로운 relation을 구성
대표적 DBMS: DB2, ORACLE, SQL, ACCESS 등
관계형 데이터 모형(Cont’d)
relation의 특징(table과의 차이점)
동일한 속성의 중복 불허
동일 도메인에서 한 relation의 여러 속성들이 추출 가능하나 이름은 달라야 함
table: 열(column)은 순서가 있으며, 이름이 없어도 됨
속성들의 순서는 무의미
속성은 순서보다는 이름에 의해 식별
튜플(tuple)의 순서는 무의미
table: 행은 순서가 존재
동일한 튜플의 중복 불허
집중식에 대한 분산 DB의 장점
신뢰도(reliability)가 향상
가용도(availability)가 향상
공유도 향상
병행처리를 통한 실행 성능 향상
데이터 단편화(data fragmentation): relation을 쪼개 방법
수직적 단편화(vertical fragmentation)
필요한 필드만으로 relation을 구성
일부 field는 여러 단편에 중복 가능
각 단편들에 대해 튜플 식별자를 부여
수평적 단편화(horizontal fragmentation)
필요한 튜플만으로 relation을 구성
※ relation을 동시에 수평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