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의 시작과 정의,제도
- 최초 등록일
- 2010.05.06
- 최종 저작일
- 2008.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에 대한 시작과 지역사회간호의 역사적 변천으로 본 정의
그리고 그에 대한 제도 등에 대해 레포트를 작성했습니다.
목차
Ⅰ.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시작
Ⅱ. 외국공중보건과 역사적 변천으로 본 지역사회간호의 정의
Ⅲ. 대한민국공중보건과 역사적 변천으로 본 지역사회간호의 정의
Ⅳ. 지역사회간호의 제도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시작
종교적인 형태였던 방문간호사업이 비종교적인 형태이자 정식 교육을 받은 간호사에 의해 시작된 것은 1859년 영국 리버풀에서이다. 미국에서는 1893년 릴리안 월드가 뉴욕 헨리가에 구제사업소를 세웠는데, 이것이 현대 지역사회간호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Ⅱ. 외국공중보건과 역사적 변천으로 본 지역사회간호의 정의
①역사적 뿌리
․ B.C 2000년경 함부라비 법전-보건업무와 의사들의 행위규정
․ 이집트:오수처리 체계와 개인위생 방법 발달, 유대인의 모세 율법은 많은 보건분야에 공헌
․ 그리스:지역사회보건보다 개인에 대해 더 많은 관심
․ 로마:지역사회보건과 관련된 수많은 규정과 법칙을 만듬. 전 인구의 복지강조.
건물건축, 환기, 난방에 대한 것을 규정하였고, 불법예방을 명령하였으며, 부패부정의 척결을 시도. B.C 494년 Roman Office of Aedile이 창설→오늘날 보건과의 전신
․ 아픈 사람 간호:여성들의 기능, 돌봄은 일차적인 완화방법, 오늘날의 간호의 개념과 관련
②기독교의 영향
․ 기독교의 초기: 신체적, 역적 안녕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감 강조(병자를 돌보는 것), 헌신적인 봉사는 초기 기독교 교회의 복리를 쌓기 시작, 병자를 개별적으로 방문, 모든 사람들에게 돌봄 제공, 4세기 경; 병자를 돌보기 위한 병원 “Norcomia, 병자의 집” 세워짐.
․ 중세기: 기독교의 신비성만이 강조되면서 지역사회와 개인건강상태 하향, 군간호단체조성, 병자를 돌보는 것은 9세기까지 자선단체와 가족의 기능들이 유지.
동유럽간호사; 남성과 여성이 함께 교육, 자격시험(오늘날의 RN의 선구자역할)
십자군 이후 다른종교단체; 병이 난 이후에 돌보는 것으로 이루어짐.
노동자계급의 집단들도 병자를 간호.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총론-』 이광옥 외 현문사
『최신지역사회간호학』 강영미 등저 정담
『지역사회간호학』 김화중, 윤순영 수문사 법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