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석가모니의 생애, 저서를 통해 그의 사상을 분석하고 고찰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 석가모니, 그리고 편견을 버리다
Ⅱ. 석가모니의 생애 - 욕심을 버리고 해탈에 이르다
Ⅲ. 석가모니의 주요 저서 - 『반야심경』
Ⅳ. 석가모니의 사상
① 사성제
② 공사상
③ 팔정도
④ 자비
Ⅴ. 도법 스님의 『내가 본 부처』- 선입견을 버리다.
Ⅵ. 나오며 - 인간의 욕심, 버려야하는 것인지 의문을 품다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 석가모니, 그리고 편견을 버리다
인류의 4대 성인 중 한 사람이자, 우리나라의 3대 종교 중 하나인 불교를 창시한 석가모니. 하지만 나는 지금껏 이런 위대한 성인이자 사상가인 석가모니에 대해서 내가 기독교인 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래서 이번 공학윤리 리포트 작성을 계기로 석가모니에 대한 선입견을 벗어던지고자 한다. 편견을 버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석가모니의 사상에 젖어들며 그 어려운 일을 해내보려고 한다.
Ⅱ. 석가모니의 생애 - 욕심을 버리고 해탈에 이르다
석가모니의 생애는 한 인간이 진리를 깨쳐 부처님이 되는 길을 보여준다. 우리가 본받아야 할 삶의 모범은 바로 부처님의 생애에서 볼 수 있다. 석가모니의 본명은 고타마 싯타르타로, 기원전 6세기경,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부근인 히말라야 산 기슭의 카필라성을 중심으로 샤키아 족의 작은 나라가 있었다. 석가모니는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슈도다나에게는 오랫동안 아들이 없었는데, 석가모니의 마야부인 꿈속에 하얀 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임신했다. 마야부인은 출산이 임박해 오자 당시의 풍습에 따라 아기를 낳기 위해서 친정인 데바다하로 향하던 중, 두 도시 사이에 위치한 룸비니동산에 이르자, 꽃이 만발한 무수 아래서 옆구리로 석가모니를 낳았다고 한다. 경전에는 이때 하늘에서 오색구름과 무지개가 피었으며, `가릉빈가`가 아름다운 소리로 왕자의 탄생을 축하하였으며, 또한 아홉 마리의 용이 나타나 몸을 닦아 주었다고 한다. 석가모니 왕자는 태어나서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어갔고, 그 걸음, 걸음마다에는 연꽃이 피어올랐으며, 이후 왕자는 오른손은 하늘을 왼손은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라고 외쳤다고 한다.
석가모니는 생후 7일에 어머니와 마야 부인과 사별하였다. 그 후 이모에 의하여 양육되었는데, 왕족의 교양에 필요한 학문과 기예를 배우며 성장하였다. 석가모니의 생활은 물질적으로는 매우 풍족하였을 것이다. 석가모니는 당시의 풍습에 따라 16세에 아쇼다라와 결혼하여 라훌라라는 아들을 두었다.
참고 자료
1. 둘로스 데우, 『부처님의 혜안으로 기록한 반야심경』, 의증서원, 1996년, pp.125~188.
2. 모로하시 데츠지, 『공자 노자 석가』, 동아시아, 2001년, pp.146~167, 188~194.
3. 도법, 『내가 본 부처』, 호미출판사, 2001년, pp.21~40, 150~160.
4. 오오카와 류우호오, 『석가의 본심』, 가림출판사, 2002년, pp.59~89, 129~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