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비정규직의 증가와 취업난으로 인해 저출산과 인구 노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물론 평균수명이 증가한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국가적으로는 노인부양을 하기위한 정부지출의 급증으로 인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고령화와 저출산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니 국가경쟁력 또한 낮아지게 될 것이다. 오늘날 노인세대는 소득 대부분을 자식들에게 지출하고 노후생활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채 빈곤과 소외의 문제로부터 고통 받고 있다. 이러한 노년층의 빈곤문제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우리나라 노년층 빈곤문제의 현황
1)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
우리나라는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일자리의 지속적인 불안이 지속되면서 저출산과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평균 수명 증가는 분명 인류에게 축복이지만 국가와 사회에 커다란 부담과 숙제를 안겨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01년 이후 0.5%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최근 10년 새 70% 가량 증가했다. 더욱이 내년부터 2018년까지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 720만 명이 경제 일선에서 물러난다.”
2) 노년층의 노후준비 현황
“우리나라 노인세대는 노후생활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했다. 노후를 준비한 노인 인구는 28.3%에 불과한 실정이다.” “경제적으로 노후 대비를 전혀 하지 않은 사람이 65세 이상 전체 노인의 71.7%에 이른다는 전국 노인생활 실태에 대한 정부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퇴자협회가 장노년층 31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9%가 “자녀로부터의 부양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후준비가 부족하다면 어디서 채우겠느냐는 질문에는 74%가 스스로 해결하겠다고 답했다. 만성질환으로 생활이 불편해지면 요양원에 가겠다는 응답도 절반이 넘는 55%를 차지했다. “ 부모에 대한 자식의 부양 의무감이 점점 희석되어 가면서 부모들도 더 이상 자녀에게 부양받고자 하는 기대심리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노인들이 노후대비를 하지 못하고 생활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