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 1. 1. 청교도 혁명의 배경
2. 2. 스튜어트 왕조와 제임스 1세
2. 3. 찰스 1세의 실정
2. 4. 청교도 혁명의 시작
2. 5. 크롬웰의 집권
3. 1. 명예혁명 배경
3. 2. 명예혁명 경과
3. 3. 명예혁명
3. 4. 명예혁명 결과
3. 5. 명예혁명은 진정 민중들에게도 명예로웠는가?
4. 결론, 영국혁명의 의의
참고문헌 :
본문내용
‘청교도 혁명, 영국 시민 혁명, 영국 혁명, 영국내전’
위의 단어들을 볼 때 어떤 일련의 사건을 두고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에 의해 다르게 불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영국 시민혁명은 정확한 의미에서는 틀린 용어인데 그 이유는 시민이라는 개념이 당시 상황에 불분명하고 또한 영국혁명을 일으킨 주체는 결코 시민 계층이 아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이후에는 영국혁명이라고 알려져 온 개념역시 흔들리게 되는데 이것은 그 사건이 혁명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영국이 아닌 세 왕국(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사이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기 때문이다. 혁명과 내전이라는 용어는 1640년대에 벌어진 사건들에 대한 두 가지 해석, 즉 전통적인 휘그적 해석과 수정주의적 해석을 각각 대표하고 있다.
휘그적해석 : 역사적인 사건이 발생하는 원인은 장기적인 원인과 배경에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사건은 특정 시점에 표면화 된 것에 불과하다. >>사회계층의 형성 및 갈등과 같은 장기적인 현상에서 혁명의 원인을 찾음
수정주의적인 해석 : 역사의 사건은 아주 단기적인 사건들의 조합으로 발생하고 장기적인 원인을 결부시키는 것은 인위적 과거조작에 불과하다. >>종교라는 명분으로 전개된 투쟁이나 일부 지도층의 정치적 야욕에서 내전의 원인을 찾음
1. 1. 청교도 혁명의 배경
1.1. 사회적. 경제적 배경
1.1.1. 인플레이션 : 1500~ 1640년 사이에 물가는 400~650%상승 했으며 임금은 이것을 따라가지 못해 농업과 다른 사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상품을 파는 사람들에게는 유리하지만 고정수입에 의존하는 사람들에게는 손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토지
참고자료
· 혁명의 탄생 : 근대 유럽을 만든 좌우익 혁명들, 박윤덕 옮김 (교양인)
· 영국혁명의 꿈과 현실, 김민제 저 (역민사)
· 유럽대륙을 품은 섬나라 이야기 영국사, 김현수 저 (청아출판사)
· 영국혁명과 종교적 급진사상, 임희완 저 (새누리)
· 권리장전(1689년), 명예혁명|작성자 김명주
· http://www.kyoyon.co.kr/year/77.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