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지만 내용이 충실합니다.
전공 4학년때 작성한 것이라(현재는 대학원생) 꽤나 수준이 높으며
에이뿔 받았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야기란 전달 상황을 기본 전제로 한다. 아무리 난해한 서사라도 이해와 해석에 대한 일말의 기대를 버리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언제나 플롯이라는 개념에 의지해야 할 필요가 있고 모든 텍스트는 그들만의 독특한 플롯 짜기를 통해 개별적인 전달 방식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달-설명과 이해-방식의 상이함이 비슷한 이야기들을 언제나 새롭게 읽을 수 있도록 만든다. 한국소설학회, <현대소설 플롯의 시학>, 태학사, 1999 p 289-291
김연수의 <남원고사에 대한 세 개의 이야기와 한 개의 주석>은 독특한 플롯의 묘미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소설은 ‘춘향전’이라는 고전을 세 인물의 입장에서 서술한 세 개의 이야기와 한 개의 주석으로 나눠 놓았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 춘향은 이몽룡과의 영원한 사랑이 진짜 사랑의 감정이었는지 의심한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 군뢰사령은 변학도에게는 죄가 없으며 모든 일은 춘향이의 고집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고백한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 변학도가 향리들이 자신을 모함하기 위해 사람들이 지어냈다는 열녀에 대해 암행어사와 이야기 한다. 더욱 충격적인 부분은 춘향이가 옥에서 자결을 했다고 하는 변학도의 대사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