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와 다의(多義)어
◎ 동음이의어
◎ 다의어
◎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차이
◇참고
-문맥 유추법
◇자료
【심화】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 낱말을 넣어 짧은글을 짓는다.
본문내용
Ⅰ.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와 다의(多義)어
◎ 동음이의어
하나의 소리에 여러 개의 의미가 대응될 때 이 의미를 사이에는 서로 관련 없이 소리만 동일한 것을 동음이의어라 한다. 동음 이의란 하나의 소리에 여러 의미가 대응되나 이 의미들 사이에는 관련이 없는 것을 말한다. 동음이의어는 한자어의 차용에 의해서 그 수가 많아졌고 한자어를 한글로 쓰게 되면서 혼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고유어의 경우는 장단음의 구별을 못하게 되면서 그 수가 많아졌다. 그 밖에 불규칙 용언과 규칙 용언 사이에는 어미 활용을 할 때 나타나는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큰 지장이 없는 것은 문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학습은 우선 동음이의어를 구별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고 이해의 측면에서 동음이의어를 접근 할 때는 문맥 속에서 의미를 구별하게 하는 연습을 시키고 표현의 측면에서 접근할 때는 문맥 속에서 동음이의어를 사용하면 청자 및 독자가 혼란스러울 수 있음을 지적해 주어 가능한 한 다른 유의어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의어, 상대어, 상 하의어 다의어 등은
◇참고
-문맥 유추법
이 방법은 읽는 과정에서 문맥의 실마리를 찾아 제시된 어휘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의미 중에서 해당되는 의미를 유추해내는 방법이다.
(5) ㄱ. 집안사람을 불러서 물을 끓이고 간장을 치고, 파를 썰어 넣게 하였습니다.(5-1 읽기 : 209:3)
ㄴ. “신동일세, 신동! 크게 될 아이야.” (5-2 읽기 157:9)
(5)ㄱ의 예문에서 ‘치다’만 본다면 ‘치가’가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 중에서 어떤 의미인지 선뜻 와 닿지 않는다. 이 때 글의 앞뒤를 살펴보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가 포함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글에서는 ‘치다’ 앞에 간장이라는 말이 나오므로 ‘치다’의 의미가 ‘넣다’로 쓰였음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5)ㄴ의 예문에서도 ‘되다’의 의민만 살펴보면 금성 출판사의 국어사전에는 무려 17가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런 경우엔 사전만으로 의미를 찾아낸다는 것이 꽤나 힘든 일이다. 다라서 이처럼 사전 상의 의미가 많이 제시되어 있을 때에는 문장의 앞뒤에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는 것이 좋다. (5)ㄴ의 예문에서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되다’앞에 나와 있는 ‘신동’이라는 말이다. 지금 현재 신동이므로, ‘크게 될’이라는 의미는 결국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