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환경과)의 성격과 목표,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교수학습내용,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 교수학습방법,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평가
- 최초 등록일
- 2010.04.12
- 최종 저작일
- 2010.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환경교육(환경과)의 성격과 목표,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교수학습내용,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교수학습방법,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평가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환경교육(환경과)의 성격
Ⅲ. 환경교육(환경과)의 목표
Ⅳ.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내용체계
Ⅴ.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교수학습내용
1. 환경의 개념
2. 환경 문제
3. 환경 보호
4. 환경 교육 내용(베오그라드선언)
Ⅵ.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교수학습방법
Ⅶ.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평가
1. 평가의 원칙
2. 평가의 목적
3. 평가의 방침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75년 베오그라드 헌장, 1977년 트빌리시선언 등에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언급되면서 선진국에서는 환경교육을 중요한 교과과정으로 채택하기 시작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교육계획은 수립되지 않았다.
1980년대 이후 환경문제가 국제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국내에서도 환경피해가 곳곳에서 나타나자 국민들의 환경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한다. 이 때 학교에서도 교육과정에 환경교육이 포함되기 시작한다. 1882년 고시된 제4차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여러 교과에 환경관련 내용들이 수록된다. 1987년 고시된 제5차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8가지 중요한 교육영역에 환경교육이 포함되어 처음으로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환경부에서도 1988년부터 정규교과과정을 보완할 수 있도록 환경교재를 개발하여 각급 학교에 보급하였다. 그러나 여러 교과에 환경 관련 내용이 분산적으로 언급되어 환경문제에 해한 인식을 제고하는 정도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1992년 고시된 제6차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중학교의 환경과 고등학교의 환경과학이 독립교과과정으로서 설치되게 된다. 국제적으로는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이 채택되어 환경이 인류의 공동 이념으로서 제시되었다. 각 대학교에서는 환경관련학과가 증설하였고, 기존의 환경단체와 함께 각 시민단체에서도 환경보호를 중요한 활동영역에 포함시키기 시작하였다. 현재 정부와 여러 기관 및 단체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해 이 분야에 대해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단체, 언론매체, 공공기관, 학교 등이 교육의 주체로서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환경교육은 환경에 대한 이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케 하고 환경보전에 관한 확고한 가치관과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생활 속에서 환경보전을 실천하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개인의 윤리관이나 가치관, 태도 등은 대개 어린 시절에 형성되므로 가능하면 어릴 적부터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환경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교재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중학교 신입생부터 적용되는 선택교과서로서의 환경과목 교육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교사양성 및 환경과목 선택을 제고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려 왔다
참고 자료
교육부(1997), 한문·교련·환경·교양선택 과목 교육과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김인호·이재영·이선경·김태경(1996), 따로 또 같이 환경교육, 지성사
김정호(1997), 환경학 개론, 문지사
윤오섭(1998), 실제환경교육, 서울 동화기술
중학교 환경 교사용지도서(2002), 지학사
최돈형(1996), 한국 환경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