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목차
제 1 강 민족문화의 기원과 초기국가의 성장제 2 강 삼국의 발전과 귀족문화의 융성
제 3 강 통일신라와 발해의 사회,문화
제 4 강 호족세력의 대두와 고려의 건국
제 5 강 문벌귀족의대두와 귀족문화의 발달
제 6 강 무인정권의 성립과 권문세족의 등장
제 7 강 사대부의 성장과 조선의 건국
제 8 강 조선 통치체제의 기반과 문화기반
제 9 강 사림의 성장과 양반문화
제 10 강 붕당정치와 탕평정책
제 11 강 산업의 발전과 신분제의 변동
제 12 강 실학의 발달과 서민문화의 형성
제 13 강 사회모순의 확대와 민중의 항거
제 14 강 위정척사운동과 개화운동
제 15 강 열강세력의 침입과 동학농민전쟁
제 16 강 독립협회운동과 대한제국의 개혁정치
제 17 강 항일의병전쟁과 구국계몽운동
제 18 강 일제의 식민지수탈과 민족말살정책
제 19 강 일제하의 민족해방운동과 민족국가건설방략
제 20 강 민족의 해방과 분단체제의 형성
본문내용
제 1 강 민족문화의 기원과 초기국가의 성장I. 원시사회
구석기 문화 (60만년 전부터 ~ )
(1)유적-함북 굴포리에서부터 제주도까지 전국각처에서 발굴(ex.검은모루동굴,석장리)
(2)생활-(타제석기/골각기),동굴생활,불이용,채집,수렵,어로,무리생활,이동생활,주술적신앙
(3)구석기인-우리 민족의 조상이라고 볼 수 없음.
신석기 문화 (B.C 6000년 ~ B.C 2300년)
(1)특징-마제석기와 빗살무늬토기 사용.(원시무문토기,융기문토기=부산 동삼동)
(2)경제- (초기) 어로.수렵생활, (후기) 초보적 농경의 시작
(3)사회-정착생활(움집,화로)을 하면서 부족사회 형성(사로6촌의 공동체생활)
공동생산/공동분배의 무계급사회
(4)신앙-애니미즘,샤머니즘(신화),토테미즘(말,닭,곰,호랑이신화),자연숭배
(5)신석기인도 우리 민족의 조상으로 보기 어려움.
II. 고대사회 : 청동기,철기문화와 초기연맹왕국의 발전
1.청동기 문화 (B.C 10세기부터 ~ )
(1)유적,유물- 요동반도와 한반도 전역 출토- 비파형동검,세형동검
시베리아 계통(중국과 다름) - 무문토기와 반월형석도 출토
(2)경제-벼농사 시작, 농경비중 증가->(반월형석도,유구석부)
(3)사회-지배와피지배 관계성립(부족간정복전쟁),족장의 무덤-지석묘,석관묘,적석분
(4)청동기인은 신석기 문화를 흡수 - 우리 민족의 주류 형성
2.철기 문화 (B.C 4세기경 중국에서 전래)
(1)농업생산력발전-철기농기구(낫,괭이,보습), 오곡생산(보리,밀,수수,조,기장),과수재배
가축을 농경에 이용,->농업과 목축에 주요기반인 사회등장(고조선, 남북의국가)
.삼한지역-수전농업발달(김제'벽골제',의성'대림지',제천'의림지',밀양'수산제')
(2)토광묘, 옹관묘, 석관묘
3.고조선의 성립
(1)위치;요하유역 발생, 점차 동쪽으로 진출, 대동강 유역에 이르러 문화의 꽃을 피움.
(2)중앙조직 정비,팔조금법(생명,신체,재산 중시)
4.초기 연맹왕국의 정치체제
(1)부여;왕 아래 마가/우가/저가/구가 등의 이름을가진 부족이 연맹한 지방분권적 권력형태
(2)고구려;5부족연맹체(계루부,소노부,절노부,순노부,관노부)를 모체로 중앙권력 형성
(3)옥저(함흥평야) - 민며느리제,세골장의 풍습 -+
동예(영흥,덕원,안변) - 족외혼율, 무천(제천행사 -+ 군장세력이 각 읍락을 독자지배
(4)진국 ; 북쪽의 유이민이 주체세력,1만호에서 수천호를 지배하는 54개 소국으로 형성
목지국의 진왕이 삼한을 대표하기도 함.
*초기 연맹왕국의 왕권은 미약했지만 점차 발전하고 있었음.
5.초기연맹왕국의 사회
*철기로 만든 생산도구를 바탕으로 생산력이 늘어나고 부족간의 약탈전쟁이 치열해지면서
잉여생산물이 쌓임- 이를 바탕으로 초기 국가가 발전함.
(1)사유재산중시 ; 고구려의 살인,절도 등을 엄격히 제한하는 법률체계
(2)가부장적 가족제도 옹호, 일부다처제 등장
(3)제천행사 <font color=aaaaff>..</font>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국사] 한국사의 전개 9페이지
- 반월형석도의 시원과 사용분포 17페이지
- 영남지역의 청동기문화 7페이지
- [행정법 ] 행정법총론 총정리 55페이지
- [한국사] 한국사 요점정리 서브노트 6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