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사대상 연수를 위한 자료로 식민주의사관의본질과 비판에 관한 기고 자료입니다.목차
Ⅰ. 들어가며Ⅱ. 식민주의사관이란?
Ⅲ. 식민주의사관의 기원 및 전파의 배경
1. 역사적 기원 고찰
2. 이론적 배경 고찰
Ⅳ. 식민주의사관의 본질
1.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2. 타율성이론(他律性理論)
3. 정체성이론(停滯性理論)
4. 당파성이론(黨派性理論)
Ⅴ. 식민주의사관 비판
1. 일선동조론 및 임나일본부설 비판
2. 타율성론 비판
3. 정체성론 비판
Ⅴ. 나오며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최근 인터넷에서 한일관계 관련 검색을 하다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두 가지 있다. 우선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새로운 역사 교과서』(후소샤 간행) 후소샤 교과서의 왜곡된 내용은 크게 말해서 다음과 같다. ① 일본은 고대 이래로 한반도에 세력을 뻗치고 있었다. ② 역사적으로 보아 한국은 중국에 속한 비자주적 국가였던 것에 비해 일본은 자주 독립 국가였다. ③ 한반도는 일본의 안전을 위협하는 흉기이고 일본의 안전을 위해서는 이것을 제거해야 한다. ④ 한일관계사 속에서 일본은 항상 옳았고 한국은 항상 잘못되었다는 식으로 책임을 한국 측에 전가하였다. ⑤ 일본은 한국의 근대화를 위해 애썼으나, 한국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한국을 ‘병합’했다.
- 정재정, <후소샤 간행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사관의 특징>, 일본역사교과서 왜곡 대책반, 2001.
는 한국에 대한 역사를 서술함에 왜곡된 내용이 많고, 자국의 역사를 국수주의적인 측면에서 기술하였다고 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둘째로 <일본 정치인들의 끊임없는 망언>을 들 수 있다. 이들 망언들을 분석해 보면, 첫째,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국이 일본의 지배 하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러시아나 다른 열강의 지배를 받게 되었을 것이라는 ‘일제의 한국진출 긍정론’, 둘째, 일본이 한국을 무력․불법적으로 강점한 것이 아니고 합법적인 절차를 밟아 병합했다는 ‘한국 병합 합법론’, 셋째, 일제의 한국 통치가 기본적으로 한국인에게 유익한 것이었으며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한 바가 많다는 ‘식민통치 긍정평가론’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부분은 이러한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및 망언의 근원이 일제 강점기를 전후하여 체계화된 ‘식민주의사관’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주의사관이 일제시대의 잔재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해방 후 역사적 한계 때문이며, 이로 인해 아직도 일본인의 역사의식 속에 뿌리 깊게 남아서 한일관계를 경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더욱 심각한 문제는 식민주의사관이 현재까지도 우리 민족의 의식 속에 남아 민족적 열등감과 패배의식을 조장하고 있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식민주의사관의 극복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비단 과거의 유물을 청산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엄존하는 그릇된 의식을 말소한다는 데 있으며, 이러한 장애를 걷고 급변하는 국제 사회 환경에 당당한 역사 인식을 가지고 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통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 김한종 외,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금성출판사, [2002]2. 신용하,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1998]
3. 심창섭,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一考>, 정치논단, Vol.24.-No, [1989]
4. 국사편찬위원회, <근현대사 교수학습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5]
5.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미래를 여는 역사>, 개정판, 한겨레출판, [2006]
6. 최홍규, <일본 식민주의사관의 기원과 극복>, 경기사학, Vol.3 No.1 [1984]
7. 김구진 ․ 이현숙, <동양 근현대사> 《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환경과 복지, [2003]
8. 이만열, <근현대 한일 관계 연구사>,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Vol.4 No.- [2005]
9. 이만열,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1집 中 pp.301-328, [1997]
10. 박성진, <근현대사 강좌> 《한국사회에 적용된 사회진화론의 성격에 대한 재해석》, 한국현대사연구회, [1998]
11. 김태식, <식민사관 비판 - 남한경영론과 당파성론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Vol.34 No.-, [2004]
12. 신기남, <식민사관의 극복>, 해양전략, Vol.- No.13 [1982]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식민주의 사관 11페이지
- [독도] 독도영유권분쟁에 대한 대응전략 4페이지
- 역사의식이란 무엇인가 2페이지
- [교과 교육론] 역사교육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4페이지
- 한국인의 역사인식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