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교육기관 향교, 고려시대 교육기관 십이도(십이공도),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분석(국자감, 학당, 향교, 십이도, 서당)
- 최초 등록일
- 2010.03.24
- 최종 저작일
- 2010.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교육기관 향교, 고려시대 교육기관 십이도(십이공도),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분석
목차
Ⅰ. 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
1. 국자감의 창설
2. 국자감의 성격
3. 국자감의 교육내용
4. 국자감의 수업연한
Ⅱ. 고려시대 교육기관 학당
1. 등장시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의의
Ⅲ. 고려시대 교육기관 향교
Ⅳ. 고려시대 교육기관 십이도(십이공도)
Ⅴ.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
Ⅵ.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1. 성립
2. 배경
3. 형태
4. 내용과 종류
1) 제술과(진사과)
2) 명경과(생원과)
3) 잡과(의복과)
4) 승과
5. 응시자격
6. 과거의 특징
7. 장·단점
1) 장점
2) 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
1. 국자감의 창설
국자감은 국립최고학부로서, 성종 즉위 11년째인 992년에 창설되었다.
2. 국자감의 성격
국자감은 종합대학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국자학, 대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입학 자격은 철저히 신분에 의해 결정되었다. 예를 들어, 국자학은 문무관 3품 이상의 자제 등에게 입학이 허용되었고, 대학은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손 등에게, 사문학은 문무관 7품 이상의 자제 등에게, 율학과 서학 그리고 산학의 경우는 문무관 8품 이상에게 허용되었다. 그리고 국자감의 학제를 규정한 [식목도감]이라는 책에는 공(工), 상(商), 악(樂) 등 미천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노비나 향촌 부곡인의 자손 등의 입학을 금지한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철저한 신분 계급사회였던 고려의 국자감은 귀족 자제 또는 자손을 대상으로 하는 관리양성과 봉건적 지배 이데올로기의 개발이 주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국자감의 교육내용
고려의 역대 왕들은 국자감 교육을 매우 중요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보호 육성하였다. 특히 예종 4년(1109)에는 교과 과정의 운영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7개의 전문강좌인 7재(齋)를 설치하였는데, 그 가운데 6재가 유학재(儒學齋)이며 1재가 무학재(武學齋)였다. 국자감에서 무학교육이 실시된 것은 당시 금과의 관계가 복잡했던 시대적 요청이 있었고, 또한 송나라 국자감에 문무 양학(兩學)제도가 있었음을 참작한 것이었다. 그러나 무학교육은 문신들의 반대로 인종 때 폐지되고 말았다. 또한 예종 14년에는 국자감의 재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국자감에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였다. 인종도 교육진흥에 힘써 그 초기에 일종의 학칙인 학식(學式)을 제정하여 국자감 운영의 제도적 기초를 수립하였고, 그 동안 형부(刑部)에 예속되었던 육학(六學)을 국자감으로 옮겨 이른바 경사육학(京師六學 :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을 정비하였다. 무신집권기의 학교교육은 다소의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원칙적인 면에서 문신귀족 정권기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참고 자료
◎ 김영우·서영현·이항재·피정만·한규원, 교육사․철학, 교육연구
◎ 목영해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2006
◎ 신천식, 고려 교육제도사 연구 운영적 측면에서, 관동사학 제2집, 1984
◎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998~2000
◎ 임동철, 고려전기의 국자감에 관한 연구,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1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미디어, 2001
◎ 한국교육사 안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