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체제이론의 개념
Ⅱ. 커뮤니케이션 이론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종류와 발달
3.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4.커뮤니케이션의 접근 방법
Ⅲ. 일반 체제이론
1. 일반 체제이론의 정의
2. ADDIE모형
3. 일반 체제이론의 특징
4. 일반체제의 구성요소
Ⅳ. 일반체제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리
1. 일반체제이론의 유형
2. 커뮤니케이션이론의 유형
본문내용
Ⅰ.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체제이론의 개념
커뮤니케이션과 체제개념 교육공학의 전신은 자연과학·매체 개념의 교육공학이다. 이것은 영사기, 녹음기, TV, 비디오디스크, 컴퓨터 등의 기계적인 장치와 이공학의 기술을 교수-학습과정에서 사용하는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 활용하는 것이다. 매체 개념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교수 보조물로 간주하고 선정 혹은 설계는 간과하고 있다. 이것은 하드웨어 중심의 교육공학이며 좁은 의미의 교육공학을 말한다. 이는 자연과학·매체 개념은 시청각교육 운동을 지휘해 왔던 많은 지도자들이 매체 관점에 대해 불만을 갖게 됨에 따라 1960년대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계기로 커뮤니케이션과 체제개념으로 전환되었다.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은 교수-학습 장(場)에 송신자와 수신자의 통신방식이 일방적인 형태가 아니라 쌍방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시청각 교재를 중심으로 한 일원적 교수과정에 치우친 시청각교육의 관점에 비해 포괄적이다.
체제(stytem)는 ‘공통의 목적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진 조직체(Hoban, 1960)`로 정의되고 있다. 체제개념은 체제 내에서는 구성요소간에 상호관련성이 있고 이를 토대로 요소간의 통합이 이루어진다는 점과 이를 통해서 체제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체제개념을 통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청각 커뮤니케이션이다. 시청각 커뮤니케이션은 시청각교재를 커뮤니케이션 전체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교수체제(system)를 추구하고 있으며 사물(things), 산물(product)로 지칭되는 시청각교재의 개념에서 전환하여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있어서 ’과정(process)`의 개념을 기본개념으로 수용하였다. 이 패러다임은 체제접근(stytems approach)의 개념을 등장하게 하였다. 체제접근이란 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이 동일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그들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충분히 발휘하면서 동시에 각 요소들의 기능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