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 최초 등록일
- 2010.03.10
- 최종 저작일
- 2010.03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동양중세사 -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에 대한 글입니다.
목차
1. 호한체제의 등장
2.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3. 호한체제를 밑거름으로 통일제국이 등장
본문내용
1. 호한체제의 등장
서진 말기 316년 ‘영가의 상란’으로 북조에는 저, 갈, 강, 선비, 흉노의 5호에 의한 십육국 시대가 남조에는 동진, 송, 제, 양, 진으로 나누어진 남북조 시대가 형성된다. 이러한 시기에 북조에는 중국 서북방에 거주하던 호족들이 대거 이동하여 중국 내지로 이동을 하여 최초로 국가를 세우게 된다. 이때 기존에 거주하고 있던 한인과 서북방에서 내려온 호족사이에 정치체제나 제도, 문화체제 등의 모든 갈등과 사회 현상, 융합 등을 호한제제라고 한다. 이러한 호한체제에 따라 호족의 정치체제나 제도, 문화체제와 한족의 정치체제나 제도, 문화체제가 융합되어 새로운 체제와 질서를 모색하는 것이 이 오호, 북조 시대의 사회적 큰 흐름이다. 특히 기존의 호한체제에 관한 연구에서는 호한체제를 무조건 융합과 한인화 하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면 이 논문은 호족의 역할을 중점으로 호한체제를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호족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가 어떠한지 살펴보도록 하자.
2.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2-1. 통일을 지향하는 호한체제의 전개
먼저 오호 십육국 시대는 남흉노의 계통을 이어받은 304년 한의 건국으로부터 시작한다. 한의 건국자인 유연은 새로운 흉노국가를 부흥한다는 것과 중국 내지의 통일을 이룩하는 것을 정점으로 삼아 통치를 취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한분치정책을 시행하고 중국적 백관제를 채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인관료는 수적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족의 활약자체는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후조와 전연정권역시 중국 내지의 통일을 목표로 삼아 유연의 한보다는 한인사족의 참여의 길을 더 열었다. 그러나 여전히 호한민중의 차별은 남아있는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진의 부견이 등장한다. 그 역시 천하를 통일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종족융합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관리임명의 보편적 원리인 수재탁수책을 채용하였고 한화정책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호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융지술을 채용하여 이족을 회유하고 높은 작위를 주어 우대하였다. 또한 사민정책과 부락해산 조처를 실시하여 결국 화북 전역을 통일 시키는데 성공을 거두게 된다.
참고 자료
박한제,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2008), pp. 6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