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짐시험 결과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0.03.09
- 최종 저작일
- 2009.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다짐시험 결과보고서
목차
◈ 시험개요
◈ 시험목적
◈ 시험장비
◈ 시험방법
◈ 결과
◈ 문제점
◈ 결론
본문내용
◈ 시험개요
다짐시험은 현장에서 임의의 하수비로 흙을 다질 때 예상되는 단위중량을 결정하기 이하여 실시한다. 현장에서는 다짐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최대 건조단위중량의 어느 비율(다짐도)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시료의 함수비를 증가시키면서 다짐시험을 수행하여 건조단위중량이 최대가 되는 함수l 즉, 최적함수비를 찾는다. 이를 위하여 함수비를 변화시키면서 다짐시험하여 함수비-건조단위중량 관계곡선을 구하여 최대건조단위중량 ϒdmax과 이에 대응하는 최적함수비 ωopt를 구한다. 다짐곡선은 대개의 흙에서 위로 볼록한 곡선이 되지만 모래(SW, SP), 자갈(GW, GP) 등에서는 완전 포화되거나 건조한 상태에서 건조밀도가 최대가 될 수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다질 수 없다. 다짐에너지는 시료의 최대입경과 램머의 무게 및 다짐층수를 달리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짐에너지에 따라 다짐방법을 표-5.1과 같이 구분한다. 다짐시험결과는 주로 현장의 다짐공정관리, 사질토의 상대밀도를 구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우리나라에는 한국공어규격 KS F2312에 규정되어 있다.
다짐곡선의 모양은 입고가 양호한 사질토일수록 날카롭고 세립토일수록 완만하다. 이도가 양호한 균등한 사질토는 곡선이 평평한 상태를 나타내고 최대치가 불분명하다.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클수록 최적함수비는 작다.
◈ 시험목적
흙입자의 비중이란 흙덩이의 골조를 이루고 있는 흙입자군의 평균적인 비중을 말한다. 비중은 흙의 기본적인 성질인 간극비와 포화도를 아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흙의 견고한 정도나 유기질토에 있어서 유기물 함량을 구하는데 이용된다.
또 간극비, 포화도와 함께 흙의 습윤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을 구하여 지반의 침하량이나 토압 등을 구하는 토질정수로서 사용된다.
비중=건조된 토립자 중량 / 토립자와 같은 용적의 4℃ 물
다짐
방법
램머무게
[㎏]
낙하고
[㎝]
몰드내경
[㎝]
다짐
층수
층 당
다짐횟수
허용최대입경
[mm]
A
B
C
D
E
2.5
2.5
4.5
4.5
4.5
30
30
45
45
45
101.6
152.4
101.6
152.4
152.4
3
3
5
5
3
25
55
25
55
92
19.0
37.5
19.0
19.0
37.5
이 시험 방법은 KSF 2308에 규정되어 있다.
참고 자료
토질역학 송영우, 권호진, 박준범, 이영생 저, 구미서관
기본 토질실험-원리와 방법- 이상덕 저, 새론 출판사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10&eid=U/oh/9U68V0gpj3nJNtPraLCJBaJvvbf&qb=xeTB+iC02cH8vcPH6CC48cD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