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사회관계, 스포츠와 사회제도 및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스포츠사회화의 이론, 스포츠사회화의 주체에 관한 분석(스포츠, 사회관계, 사회제도, 스포츠사회화, 스포츠사회화이론, 스포츠사회화주체)
- 최초 등록일
- 2010.02.26
- 최종 저작일
- 2010.0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소개글
스포츠와 사회관계, 스포츠와 사회제도 및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스포츠사회화의 이론, 스포츠사회화의 주체에 관한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스포츠와 사회관계
1. 집단 구성의 정의
2. 스포츠 집단 구성원의 특성
1) 신체적 특성
2) 사회적 특성
3) 성격특성
Ⅲ. 스포츠와 사회제도
1. 사회제도로서의 스포츠
1) 초보적 수준
2) 전문적 수준
3) 관리적 수준
4) 법인적 수준
2. 사회적 참여 형태로서의 스포츠
1) 행동적 참여
2) 인지적 참여
3) 정의적 참여
3. 스포츠 참여의 정도와 유형
1) 참여 정도
2) 참여 유형
Ⅳ.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1. 사회화의 개념
2.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Ⅴ. 스포츠사회화의 이론
1. 사회학습이론
1) 강화
2) 코칭
3) 관찰학습
2. 역할이론
3. 준거집단이론
Ⅵ. 스포츠사회화의 주체
1. 스포츠의 참여동기 및 요인
2. 스포츠사회화의 주관자
1) 가족, 부모
2) 동료집단
3) 학교
4) 지역사회
5) 대중매체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즘과 같이 스포츠의 상업주의, 승리, 지상주의화 경향이 문제가 되는 사회적 상황하에서는 스포츠 대중화를 가로막는 사회적 조건의 개선이 급선무이며 그를 위해서 스포츠로의 사회화 연구의 축적이 기대된다고 하겠다.
Kenyon은 스포츠적 사회화를 논하면서 스포츠 참여(Sports Involvement)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스포츠 참여란 스포츠와 인간의 모든 관련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스포츠로의 내면적, 외면적, 행동적 참가를 의미하는 스포츠 참가보다도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스포츠 참여에는 행동적 차원 이외에도 경향적 차원이 존재한다. 그리고 스포츠 참여를 시간적으로 나누어 참여하는 단계(Becoming Involved), 일관된 참여의 단계(Being Involved), 탈 참여의 관계(Becoming Uninvolved)로 규정하고 이들 단계는 스포츠 참여 그 자체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스포츠 참여를 종속변수로써 다루는 경우)와 스포츠 참여의 연구를 통하여 사회를 이해하려는 경우(스포츠 참여를 독립변수로써 다루는 경우)에서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하고 있다.
지금까지 스포츠의 사회화에 관한 조사는 스포츠를 종속변수로 하여 참여하는 단계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Kenyon의 용어를 빌린다면 참여적 사회화를 이해하려는 것이었다.
한편 스포츠 참여를 독립변수로써 다루는 경우 스포츠 참여의 결과에 고찰이 가능하다. 과거의 스포츠에 의한 사회화 조사는 스포츠 참여를 독립변수로 하여 일관된 참여의 단계를 다룬 것이 많았던 것이다.
Ⅱ. 스포츠와 사회관계
집단 구성은 집단 구조와 함께 사회집단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로서 스포츠 집단을 구성하는 팀 성원의 개인적 특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스포츠 집단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의 정의를 살펴보고 스포츠 집단 성원의 특성을 논하고자 한다.
1. 집단 구성의 정의
집단 구성은 집단을 형성하는 구성원의 다양한 특성을 의미하며 집단 구조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집단 구조가 구성원 간의 비교적 고정적이고 유형화된 상호관계를 의미한다면
참고 자료
◉ 김범식 외(2002), 현대사회와 스포츠, 도서출판 홍경
◉ 김종선(1988), 여성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 송정민(1982), 스포츠적 사회화 연구의 전개와 과제 일본체육학회 제33회 대회호
◉ 양재근·김우성(2002), 스포츠와 사회환경, 무지개사
◉ 엄인용(1991), 스포츠 사회화에 따른 Mass Communication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임수원(1998), 스포츠와 사회화·현대사회와 스포츠, 현대사회와 스포츠 교재 편찬 위원회
◉ 원영신(1993), 어린이들의 스포츠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 스포츠 사회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