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독과 멸균
1) 소독
(1) 소독 대상의 분류
① 고위험기구(멸균) : 조직이나 혈관에 직접 접촉하는 것
예 - 수술기구, 심방 및 혈관 카테터, 요로 카테터, 골수검사기구, 이식물,
주사바늘, 내시경의 부속품 중 biopsy forcep 이나 cutting instrument 등
소독방법 - 고압증기멸균, EO 가스 멸균, 건열멸균, 화학 멸균제를 이용
② 준위험기구(소독) - 점막이나 불완전한 피부에 접촉하는 기구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모든 미생물이 없는 상태로 환자에게 사용되어야 하는 기구.
예 - 호흡기 치료기구, 마취기구, 내시경 등
③ 비위험기구(청결) - 손상되지 않은 피부와 접촉하는 물품들. 점막에는 사용되지 않는 기구.
예 - 대변기, 혈압기 커프, 청진기, 욕조, 린넨, 체온계 등
소독방법 - 일반적으로 세척하여 재 사용가능
환자의 분비물이나 감염균에 오염되어 다른 환자에게 미생물을 전파시킬 가능성이
있으면 낮은 수준의 소독을 하도록 함.
(2) 이상적인 소독제의 조건
- 광범위하고 일정한 소독효과, 세척작용이 우수, 가격이 저렴.
- 유기물질, 물의 경도나 산도 등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
- 사용자에게 독성이나 자극이 없어야 함. 냄새가 없을수록 좋음.
- 모든 농도에서 수용성이어야 함.
- 소독제가 적용된 표면에 정균작용을 할 수 있는 필름을 형성해야 함.
- 원액이나 희석된 상태에서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함.
(3) 소독제 사용시의 주의 사항
- 소독제 사용 전에 반드시 세척.
- 의료기구 분류에 따른 적절한 소독제 사용.
- 소독제 수준에 따른 소독 시간 준수.
- Glutaraldehyde 계통은 높은 수준의 소독에만 사용.
- 내시경 소독 시 높은 수준의 소독제를 사용.
- 투석기계 소독 시 높은 수준의 소독제를 사용.
- 환경 소독제와 피부 소독제를 구별.
- 4급 암모늄 계통이나 붕산수는 피부 소독제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
- 일반 환경 및 기구 소독은 낮은 소독제로 사용.
- Sodium hypochorite는 소독 수준에 따른 농도를 적절히 사용.
- MRSA, VRE 등에 오염이 된 기구는 소독액에 일정시간 담그었다가 세척.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