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과 구성요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와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및 초등학교국악교육의 국악기지도, 초등학교국악교육의 민요와 장단지도, 초등학교국악교육의 장구지도와 평가방법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
Ⅲ.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구성요소
1. 율명(음이름)
2. 기보법
1) 율자보
2) 공척보
3) 약자보
4) 육보
5) 합자보
6) 정간보
7) 오음약보
8) 연음표
3. 시김새
4. 음계와 선법
5. 장단
Ⅳ.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
1. 12율
2. 중성과 청성, 탁성
3. 삼분손익법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1. 음악 계통에 의한 분류
1) 향부 악기
2) 당부 악기
3) 아부 악기
2. 연주법에 의한 분류
1) 관악기
2) 현악기
3) 타악기
Ⅵ. 초등학교국악교육의 국악기 지도
1. 1학년
2. 2학년
3. 3학년
4. 4학년
5. 5학년
6. 6학년
Ⅶ. 초등학교국악교육의 민요와 장단 지도
1. 민요 지도
1) 장구 반주에 의한 방법
2) 음향 자료에 의한 방법
3) 신체활동을 통한 방법
4) 가창방법
2. 장단 지도
1) 장단 지도 방법
2) 장단 지도상의 유의점
Ⅷ. 초등학교국악교육의 장구 지도
1. ꡐ쿵ꡑ, ꡐ따ꡑ, ꡐ덩ꡑ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준비물
2. ꡐ쿵(궁)ꡑ 쳐보기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3. ꡐ따ꡑ 쳐보기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4. ꡐ덩ꡑ 쳐보기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5. 양장고 ꡐ쿵(궁)ꡑ 쳐보기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Ⅸ. 초등학교국악교육의 평가 방법
1. 기악 평가 도구
2. 민요창 평가 도구
3. 실음을 통한 지필 검사
4. 자기 평가 도구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음악은 국제적 공통어‘라고 들 말하기도 하지만, 이는 타민족과의 사상과 감정교류에 있어서 음악이 말(言語) 보다는 수월하다는 뜻일 것이다. “삼국사기 권32. 『악지』에 의하면 ‘왕이 이르기를 자국의 방언도 각각 다른데, 성음이 어찌 한결 같으랴.”고 하였다. 민족마다 독특한 사상과 감정으로 민족성이 다르니, 풍습, 문화, 예술(음악)등이 서로 다른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음악‘이라고 하면, 서구음악과 서구식 음악을 생각하고 있다. 여기에서 서구식 음악이란, 우리 나라 사람이 만든 음악일지라도 서구의 음악적 원리로 만든 음악을 말한다. 우리의 국악도 음악이요, 서구의 음악도 음악이기에 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우리 국악을 서양 음악식으로 지도하고 있는가 하면, 우리 음악을 서양적인 원리와 이론으로 이해하려고 하고 있으니, 이는 우리의 국악을 올바로 이해할 수없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 국악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례를 몇 가지만 예를 들어보겠다.
◦ 우리 민요의 특징은 주로 5음계로 되어 있으며, 지은이를 잘 모른다.
◦ 우리의 5음계는 서양음악의 5음계(Pentatonic Scale)와 같이 솔(Sol), 라(La), 도(Do), 레(Re), 미(Mi)로 되어 있다.
◦ 서양 음악은 7음계로 되어 있고, 우리 음악은 5음계로 되어 있다.
◦ 우리 음악의 5음계는 궁(宮:Do), 상(商:Re), 각(角:Mi), 치(緻:Sol), 우(羽:La)이다.
◦ 세마치 장단은 3/4박자(또는 9/8박자)이다.
◦ 국악기의 음고가 부정확한 것이 흠이다.
◦ 우리 국악의 이론은 비과학적이다.
등등 우리의 국악을 우리 스스로가 비하(卑下)해서 이해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현실이 아닌가? 우리 음악의 근본 사상과 원리가 서양음악과는 전연 다른데, 우리의 음악을 서양 음악 식으로 인식한다면 도저히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마치 장님이 코끼리를 구경하는 것보다도 더 큰 오류를 범하는 우매한 짓이 라고 하겠다. 그러면, 우리의 국악을 외래음악 특히, 서양음악과 비교해가면서 그 차이점을 몇 가지로 압축하여 지적해 보겠다.
참고 자료
◉ 김해숙․백대웅․최태현(1995), 전통음악개론, 도서출판 어울림
◉ 손태룡(1997), 전통음악개론, 서울 도서출판 어울림
◉ 신대철(2001),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민속원
◉ 이성천(1991), 가창과 창작학습, 국악교육총서, 서울 풍남
◉ 윤중강(2004), 국악이 바뀌고 있다, 민속원
◉ 정성자(1998), 어린이 국악교육의 실제, 창지사
◉ 전송배, 국악교육 길라잡이, 문화마당 아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