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 PKO
- 최초 등록일
- 2010.02.19
- 최종 저작일
- 2010.02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부 수업 발표 자료
목차
Ⅰ. 서론
Ⅱ.유엔 PKO의 정의와 1·2세대 PKO의 비교
Ⅲ.제2세대 PKO의 특징
Ⅳ. 2세대 PKO의 대표적 사례분석
Ⅴ. 2세대 PKO의 한계점과 문제점
Ⅵ.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세계는 포스트 냉전기를 맞아 이데올로기 대립이 약화되고 고강도 분쟁의 발발가능성은 축소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민족, 종교, 영토, 환경, 마약, 테러리즘 등 저강도 분쟁(LIC : Low-Intensity Conflict)은 오히려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저강도 분쟁을 예방, 관리 및 해결하기 위해 유엔은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유엔 헌장 상에 명시되지 않은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 Peace Keeping Operations)이 태동하였다. 이것은 유엔이 시행하는 세계평화 방법이 안전보장이사회가 수행할 수 있는 평화집행이 아니라 유엔 총회에서 시행해 온 PKO라는 변형된 형태의 발전이었다.
Ⅱ.유엔 PKO의 정의와 1·2세대 PKO의 비교
① PKO의 정의
PKO의 역할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에 왔다. 법적 근거의 부재와 시대 및 상황에 따른 PKO의 가변성에 따라 PKO에 대한 보편적 정의는 없고 다양한 정의만 혼재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PKO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국제 평화연구소에서 내린 것이 가장 폭 넓게 인용되고 있다. : 질서를 복원하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조직되고 감독되는 다국적 군인, 경찰, 민간인을 사용한 제3자의 개입을 통해 분쟁당사국의 적대행위를 예방(prevention), 봉쇄(containment), 조율(modulation), 종결(termination)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탈냉전 이후 더욱 적극적이고 간섭적으로 PKO활동이 변화한데에 따른 모습은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갈리 전 UN 사무총장은 PKO활동을 이렇게 정의 하였다 : 평화유지는 유엔이 모든 관련된 분쟁 당사자들의 동의를 얻어 유엔군, 경찰관, 때로는 민간인까지도 포함하여 분쟁 현장에 이들을 배치시킴으로, 분쟁의 예방과 평화 조성을 위한 가능성을 확대하는 기술이다. 이는 곧, 앞으로의 PKO는 기존의 전통적 PKO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역 즉, 선거지원, 인도주의적 원조, 난민 귀환, 지뢰제거, 예방전개, 무장해제 등의 다양한 역할까지 포함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