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접속 체계 설정 관련 논의들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발제문 형식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접속 분류의 문제점
2.1 접속에는 대등문과 종속문이 있다는 견해
2.2 접속에는 대등문만 있다는 견해
2.3 접속에는 종속문만 있다는 견해
2.4 접속을 인정하지 않는 견해
3. 결론
본문내용
초기 복합문에 대한 연구는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1980년대 이후 생성문법의 영향으로 통사론적인 측면에서 복합문을 접근하면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었다. 내포문에 대한 구조와 의미적 특성이 매우 광범위하게 탐색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많은 구조적인 특징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복합문에 대한 통일된 견해는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한국어가 어떠한 범주에 딱 떨어질 수 없을 정도로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3. 결론
지금까지 접속에 대등문과 종속을 인정하는 견해부터 접속의 범주를 설정하지 않는 견해까지 살펴보았다. 초기 복합문에 대한 연구는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1980년대 이후 생성문법의 영향으로 통사론적인 측면에서 복합문을 접근하면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었다. 내포문에 대한 구조와 의미적 특성이 매우 광범위하게 탐색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많은 구조적인 특징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복합문에 대한 통일된 견해는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한국어가 어떠한 범주에 딱 떨어질 수 없을 정도로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위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의미론적인 측면과 통사론적인 측면을 아우르는 설정 근거를
참고 자료
고광주(1999), 대등 접속문에 대한 검토, 한국어학 9, 한국어학회.
고재설(2003), 국어 대등 접속문의 성립 조건과 구조, 언어학 제11권 제2호, 대한언어학회.
권경희(1997), 국어 복합문 체계에 대한 검토. 동남어문논문집 제7권.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김선희(1999), 부사절의 설정 문제와 범위, 목원어문학 제17권,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김영선(2001), 현대국어 복합문의 통사론, 한국문화사.
김영희(2004), 종속 접속문의 조응 현상과 구조적 이중성, 국어학 제43권, 국제어문학회.
김정대(2008),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제18권 제1호, 한국생성문법학회.
남기심(2001), 현대국어통사론, 태학사.
남기심ㆍ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민현식(2004), 국어의 부사화, 새국어생활 제14권 제4호.
박덕유(2006), 학교 문법론의 이해, 역락.
박소영(2002), 한국어 부사절과 접속문 체계 다시 보기, 언어학 제34권, 한국언어학회.
서정수(1994), 국어의 종속 접속문에 대하여, 한국말 교육 제5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왕문용ㆍ민현식(1993), 국어 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이관규(1992), 국어 대등구성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2005), 학교문법론, 월인
이상태(2000), 국어 접속문의 통사구조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32권, 국어교육학회.
이은경(2000), 국어의 연결어미 연구, 태학사.
이익섭(2000), 국어학 개설, 학연사.
(2003),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이익섭ㆍ채완(1999),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최웅환(2002), 국어 접속문의 통사적 표상에 대한 연구, 언어과학연구 제23권, 언어과학회.
허철구(2005), 대등문의 통사 구조, 배달말 제36권, 배달말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