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
- 최초 등록일
- 2010.02.09
- 최종 저작일
- 2005.06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願往生歌에 대한 발표 자료. 도서관에서 직접 자료를 찾아가며 정리한 자료 입니다.
삼국 유사 해당 부분 스캔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기존연구사 검토
2.1. 작자문제
2.2. 소재로서의 ‘달’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 (배경설화)
5. 텍스트 확정
6. 작품분석
6.1. 미학적
6.2. 문예학적
6.3. 문학사회학적
7. 결론
※『삼국유사』권5 광덕엄장조 원왕생가
본문내용
1. 서론
「원왕생가(願往生歌)」를 살펴봄에 있어 노래의 유래에 관한 배경 설화와 함께 향찰로 표기된 원문이 『삼국유사』 권5 광덕엄장조(廣德嚴莊條)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른 향가작품에 비하여 원왕생가는 그 유래가 비교적 자세하게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지만, 기록된 배경설화를 통해서도 매듭짓지 못하면서 작품의 작가문제는 여전히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다. 그리하여 기존연구사 검토에 있어서는 작자가 누구인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특히 배경설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광덕엄장 설화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몇몇 설화와의 비교대조를 통해 원왕생가에 담겨진 특성을 세분화하였다. 또한 일연이 왜 감통편에 원왕생가를 실었을 지를 유추해보며 원왕생가의 성격을 검토해보았다.
2. 기존 연구사 검토
2.1 작자문제
‘廣德 嚴莊’이 이야기는 엄장이 ‘몸을 깨끗이 하고 뉘우쳐 한마음으로 관을 닦아서 또한 서쪽으로 승천함을 얻었다.’로 사실상 끝맺고 있다. 여기에 본문과 관계있는 광덕처의 신원을 밝혀주려고 했고, 또 정염에서 벗어나지 못한 엄장을 서승케 한 원효의 삽관법을 부설하고 있다. 거기에다 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광덕이 불렀던 노래인 것 같다. 이 기록은 초점이 광덕과 엄장에 맞춰져 있다. 그렇다면, 이 노래도 이 둘 어느 쪽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문맥이 불분명하여 이 노래의 작자문제로 시비가 일게 만들었다.
어찌 생각해보면 이 작자문제는 어디까지나 문학외적인 문제로서 작품의 본질적 연구와는 별 무관할 것 같이 생각될지 모르나, 이 작자 문제는 작자 문제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향가의 경우, 크게는 그 시가의 향유계층문제, 그 작품의 배경사상문제, 그 양식의 역사적 전개 문제 등에 깊이 관련되고, 나아가서는 개별 작품의 올바른 해석으로 원작의 진면목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점이요, 좌표의 축이 되는 기본 문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노래에 대한 작자에 대한 학설은 ‘광덕처설, 광덕설, 원효서, 전승가요설’ 등이 있다. 이 견해를 제기한 근거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김승찬.『신라향가론』.부산대출판부.1999.
김승찬.『향가문학론』.새문사.1986.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출판사.1982.
김종규.『항가문학연구』. 경인문화사. 2003.
나정순.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 ≪이화어문논집≫ 12집.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1992.
박노준. 2001. <향가, 그 현대시로의 변용(Ⅱ)>,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박노준 『신라 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박인희.〈『삼국유사』감통편 향가의 존재양상〉.《국민어문연구》7집..1999.
양희철.『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이도흠. <원왕생가의 문화사회학적 시관>.《기전어문학》7집. 1992
이도흠.『신라인의 마음으로 삼국유사를 읽는다』. 도서출판 푸른역사.2000.
이승남.〈원왕생가의 시적 자아와 작자 문제〉.《한국어문학연구》39집.한국어문학연구학회.2002.
이재선 『향가의 이해』. 삼성문화문고. 1979
최 철.『향가의 문학적 해석』.연세대출판부.1990.
최 철. 향가의 본질과 시적 상상력』, 새문사, 1983.
홍기문.『향가해석』. 여강출판. 1990.
황패강.『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설』.일지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