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어촌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입니다.목차
Ⅰ. 문제 제기Ⅱ. 농어촌 문제의 이론적 배경
1. 농어촌문제의 정의
2. 농어촌복지의 개념 및 의의
3. 농어촌문제의 이론
Ⅲ. 농어촌의 실태와 문제점
1. 경제적 빈곤과 고령화
2. 교육 및 복지시설의 부족
3. 농어촌 구조의 취약성
4. 공동체문화의 해체
Ⅳ. 농어촌문제의 해결방안
1. 농어촌의 경쟁력강화
2. 농어촌노인의 생활개선 및 일자리 창출
3. 농어촌사회의 문화시설 확충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문제 제기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국민경제에서 농어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전반적으로 산업 경쟁력이 낮은 농업의 경우 관세 인하 또는 철폐로 인한 추가적인 시장 개방은 결국 국내 생산 축소와 농가 소득감소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우려의 목소리가 작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특히 2006년 2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개시 선언에 이어 6월부터 본격적인 협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은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한국의 농어촌 지역사회는 대량적인 인구의 도시유출과 인구의 고령화, 지역사회의 공동화 등으로 해체적 위기에까지 몰리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농어촌주민들은 소득구조의 불안정, 교육 및 의료시설의 불리, 문화 · 여가활동의 부재 등 도시와 비교하여 복지수준이 크게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박대식, 2003).
이러한 환경에 의해 농어촌은 보편적 인간 삶의 본질적 바탕이 되는 터전임과 동시에, 가장 낙후되고 소외된 곳으로 한국의 산업화 과정 중 불평등과 차별이 장기적,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사회복지의 근간이 되는 인간존엄성과 사회공평성에 어긋나 있어 농어촌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앞으로 한국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큰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본다(김종덕, 2000).
Ⅱ. 농어촌 문제의 이론적 배경
1. 농어촌문제의 정의
농어촌문제 · 농어업문제 · 농어민문제는 대개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농어업문제는 자본주의 경제구조 하에서 농어업에 관한 경제적 문제로, 농어민문제는 소농의 사회적 지위 등 주로 정치적 대상을 전면에 내세운 범 사회 비판적인 개념으로, 농어촌문제는 농어업문제와 농어민문제를 대비하는 데서 비롯되는 이른바 농어촌 사회학적 안목에서의 개념으로 그 범주를 세분하기도 한다(김태헌, 2001).
따라서 농어촌문제에서는 경제적 여건이 아닌 농어민의 생활습성 이나 인구동태, 농어촌의 지역적 특수 환경 등이 중심이 된다.
참고 자료
고종화(2002). 농촌체험관광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관 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고영복 편(1999).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권순택(1992). 한국 농업정책의 반성과 새로운 방향모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대원 외(200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학지사.
강욱모 외(2002).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출판사.
김영모 편(2000). 현대사회문제론, 고헌출판사.
김익기 외(1999). 한국노인의 삶, 미래인력연구센터.
김종덕(2000). 농촌사회학에서 농업사회학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 회 제 7집 pp.33-69.
김창기(2005). 농촌 노인복지의 실태 및 개선방안, 제27회 충북사회복지 포럼.
김태호 외(1994). 농촌사회문제론, 농림수산정보센터.
김태헌(2001). 한국 농촌사회의 변천: 농촌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 로, 한국인구학 제 24권 제 1호. pp5-36.
나백주 등(2005). 미래사회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보 건사업 강화 방안, 고령화위원회.
농림부(2006). 농립업 주요통계.
문길수(1995). 농촌문제해결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전주대학교 지역정 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화관광부·한국문화정책개발원(2004). 문화예술통계.
박대식(2003). 외국농촌복지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건복지부(1999). 전국 국민건강, 영양조사 총괄보고서.
보건복지부(2006). 노인보건복지사업.
이영재(1993). 한국농촌의 허상과 실상. 춘추원.
장상환(1995) 한국의 농업정책, 미래사, 1995.
최영창·김성수(2001). 농촌복지의 문제와 발전방안, 한국농촌지도학 회지, 제 8권 제2호 pp 263-271.
통계청(2000). 한국사회지표.
통계청(2003). 농업기본통계조사.
통계청(2005). ‘04년 농어업기본통계조사.
통계청(2005). 행정구역 및 육체적·정신적 활동제약유형별 인구.
한국관광공사(1994). 선진국관광농업사례연구.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1986). 지역단위 농촌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2). 농어업·농어촌의 새로운 활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6). 한미FTA영향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6). 농어촌 지역개발․복지 분야 지원체계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소득팀(2006). 2006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