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단군신화와 주몽신화
- 최초 등록일
- 2010.02.02
- 최종 저작일
- 2007.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단군신화, 주몽신화에 대한 소개와 분석, 감상입니다.
목차
1. 단군신화
1) 작품의 특징
2) 작품의 구조
3) 작품의 의미
4) 감상 및 비평
2. 주몽 신화
1) 작품의 특징
2) 작품의 구조
3) 작품의 의미
4) 감상 및 비평
본문내용
1. 단군신화
1) 작품의 특징
① 삼위일체사상이 나타나 있다.
전체 줄거리가 하늘, 땅, 사람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하늘의 환인, 땅의 곰, 사람의 단군이다. 그리고 이 3가지 요소를 환웅을 통해서 결합시키고 있다. 이것은 한민족이 하늘, 땅, 인간의 삼위일체사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게 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위 3요소 가운데 하늘을 중심으로 하여 만들어져 있는 것은 한민족의 중심사상이 하늘을 숭배한 것이었음도 알게 한다.
② 홍익인간의 정신이 나타나 있다.
단군신화에는 한민족의 종교사상, 정치사상, 사회사상이 압축되어 나타나 있다. 그것은 사람을 귀하게 여기고 널리 이롭게 해야 한다는 홍익인간정신이다.
③ 한민족 사회의 발전과정이 나타나 있다.
: 무리사회 단계 -> 부락사회 단계 -> 부락연맹체사회 단계 -> 국가사회 단계
ㄱ. 무리사회 단계
환인시대는 무리사회 단계이다
2. 주몽 신화
1) 작품의 특징
① 주몽신화는 단군신화와 달리 일차적 주목 대상이 부계가 아니라, 모계(유화)이고 부계(해모수)의 존재보다 더 뚜렷하고 확실하다.
② 단군신화의 자취(성령과 동물 토템, 연인의 결합)를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새로운 전략과 약탈적 투쟁사의 약동성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③ 영웅 서사적 성격을 띄고 있다 : 건국 시조 신화는 보통 서사 무가(巫歌)로 전승되는 무조 신화와 더불어 영웅 일대기의 서사 구조를 지닌다. 이 서사 구조는 대체로 ‘고귀한 혈통을 가짐 → 비정상적인 출생 → 기아(棄兒) → 천부적인 탁월한 능력 → 시련 → 시련의 극복과 위대한 시련의 극복과 위대한 승리’등의 형식을 따른다. 주몽 역시 그러한 인물이며 이러한 서사 구조는 더불어 현세적 성취를 강조하는 낙관주의적 세계관과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2) 작품의 구조
ⓛ 금와왕이 남쪽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참고 자료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집문당, 1998
역사편집실, 단군과 고조선 연구, 한국문화사,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서대석, 한국의 신화, 집문당, 1997
김태곤 외, 한국의 신화, 시인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