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해방 후부터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대한 연구
*상*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경제학 학사학위 졸업논문으로 `해방 후부터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입니다. 참고문헌에서 제시한 것 처럼 주로 서적을 위주로 논문을 완성하였습니다. 상당히 많은 시간동안을 투입해서 만든 논문으로 서울 중위권대학 경제학 학사학위 성적평가도 A+를 받은 논문입니다.목차
Ⅰ. 서 론(1) 문제제기·····································································P. 1
(2) 연구의 목적·································································P. 2
(3) 연구의 방법·································································P. 2
Ⅱ. 본 론
1. 해방 후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과정
(1) 해방 전 국제적인 경제 환경··············································P. 4
(2) 전후 세계경제의 재편 및 한국경제······································P. 5
1) IMF/GATT 체제 ························································P. 5
2) 1945. 8. 15 해방의 경제적 의의 ·······································P. 7
3) 1950년대 원조의 도입·확대 및 시장경제제도의 본격적 확립 ······P. 9
4) 1960년대 미국 원조정책의 방향전환과 경제·························P. 14
2. 경제상황의 변화 및 경제개발계획 추진
(1) 우리나라 원조규모 감축문제 및 원조정책의 변경····················P. 18
(2)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제적 관계 변화··································P. 20
(3) 우리나라 경제 운용방식의 변화·········································P. 21
(4) 월남파병의 경제적 효과··················································P. 22
3. 1960, 70년대의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1) 제조분야 원료의 국산화··················································P. 24
(2) 수출제일주의와 공업입국·················································P. 25
(3) 우리나라의 산업혁명 과정···············································P. 26
(4) 수출제일주의와 수출주도 공업화(EOI)·································P. 28
Ⅲ. 결 론······································································P. 30
Ⅳ. 참고문헌································································P. 32
본문내용
Ⅰ. 서 론(1) 문제제기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바탕으로 최근 G-20이라고 불리는 세계를 이끌어 나가는 국가 대열에 포함되며 내년 총회에 의장국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공식적으로 세계를 이끌어 나가는 경제리더그룹에 우리나라가 소속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1950년 한국전쟁을 치루고 2009년인 현재까지 불과 60년이라는 세월동안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만큼 엄청난 속도의 경제성장을 지속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 등의 개최로 경제적인 강국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는 물론 문화나 사회적으로도 선진화대열에 점점 진입해가고 있다.
또한 정부주도하의 경제발전계획에서 나아가 삼성, 현대, LG등의 세계적으로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는 대기업들이 나타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비약적인 발전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우리가 이룩한 경제발전의 과정을 모델로 삼고 국가 경제의 발전방향을 정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위해 많은 나라들의 경제관련 공무원들과 기업들은 우리나라를 직접 방문하여 경제개발과 관련한 내용에 관하여 우리정부와 교류를 갖고 선진화된 경제발전방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정부의 전자정부 기술과 각 대기업들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상황이다.
즉 한국식 경제발전모델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많은 나라들은 경제적으로 보다나은 수준의 국가로 성장하고자 오늘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연구의 목적
문제제기에서 언급한 대로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고성장을 이룩한 우리나라의 경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1900년대 초 우리나라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를 받은 시기가 지난 해방 후 1940년대 시점부터의 경제발전에 대해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 김진웅·손영호·정성화, 『서양사의 이해』, 제1판, 학지사, 2009- 김종현, 『경제사』, 신전정증보판, 경문사, 2007
- 심경섭외, 『국제금융론』, 제2판, 법문사, 2006
-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제3판, 법문사, 2006
- 정운찬·김영식, 『거시경제론』, 제8판, 율곡출판사, 2008
- 허경회, 『새로운 밀레니엄은 없다』, 초판, 오롬시스템(주), 2000
- J. Wilczynski, The Economics of Socialism, 3rd ed.,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