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DSM-Ⅳ 진단적 준거(자주 나타나는 문제 행동들)
3. 품행장애와 적대적 반항장애의 여러 가지 특징
4. 이론적 모형에 따른 원인
5. 이론적 모형에 따른 치료
6. 평가방법
본문내용
1. 정의
1)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① 폭력, 방화, 도둑질, 거짓말, 가출 등과 같이 난폭하거나 무책임한 행동을 통해 타인을 고통스럽게 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소위 ‘비행행동’이 빈번한 경우)
② 가장 중요한 특징은 연령에 적합한 사회적 규범의 파괴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기본 권을 파괴하는 행동을 반복적, 지속적으로 보인다는 것
2)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① 어른에게 거부적이고 적대적이며 반항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3) 적대적 반항장애와 품행장애 비교
행동특징
거역, 불복종, 반항의 특징
→ 부모, 형제, 교사, 또래와
문제를 일으킴
적대적 반항장애의 특징
+
타인의 기본 권리나 규범, 기준, 규칙에 대한 반복적 공격
심각성
대부분의 아동, 청소년들이 발달과정에서 보이는
덜 심각한 정도의 행동
대다수 아동, 청소년에게서 나타나지 않는 사회적이고 법적으로 규제된 행동 (심한 발달상, 법적 문제를 가져옴)
2. DSM-Ⅳ 진단적 준거(자주 나타나는 문제 행동들)
1) 품행장애
A. 다음 항목 중 3개 혹은 그 이상이 지난 12개월 동안 지속되고, 이 중 한 항목 이상이 지난 6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품행장애로 진단된다.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
(1) 자주 다른 사람을 못살게 굴거나 협박하거나 겁먹게 한다.
(2) 자주 싸움을 건다.
(3)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신체손상을 줄 수 있는 무기를 사용한다.
(4) 사람에게 신체적으로 잔인하게 대한다.
(5) 동물에게 잔인하게 대한다.
(6) 피해자와 맞서서 도둑질한다.(예: 노상강탈, 지갑 날치기, 강도, 무 장강도)
(7) 성적 행위를 하도록 다른 사람에게 강요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