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문기사에 자주 오르내리는 말 중의 하나가 ‘생존권’ 차원이란 말이다. 특히 노동자들의 집회에서, 도시의 지역 재개발 현장에서, 심지어 대중음악에서도 “생존권”과 다름없는 “인간답게 살고 싶다“라는 가사와 외침이 우리 사회에 절규를 보내고 있다. 이 모두 헌법 제34조 제1항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사회복지의 권리성 개념
1. 사회복지에서 권리
2. 인권 및 시민권의 개념
3. 헌법상의 기본권
4. 사회적 기본권
Ⅲ.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복지권
1. 사회복지의 개념 변화
2. 사회복지권의 출현
3.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복지권
Ⅳ. 복지권의 규범적 구조
1. 사회복지법상 수급권
2. 복지권의 취약성과 보호
Ⅴ. 사회보장기본법 및 하위법에서의 개인의 수급권
1. 사회보험의 권리성
2. 공공부조의 권리성
본문내용
사회복지가 권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국가가 국민에 대한 의무로서 국민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물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된다. 국가가 그것을 행하지 않을 때, 권리를 가진 국민은 국가에 대하여 그 이행을 법적으로 청구하는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리란 무엇을 의미하며 왜 중요하게 인식되는가? 권리란 무엇을 행하거나 영위할 수 있는 정당한 자격과 힘을 말한다. 상대방을 움직일 수 있는 가치 있는 힘이다.
권리는 기회와 조건에 대한 수용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것이 없을 경우에는 오직 권력의 사용을 통해서라야만 성취될 수 있는 사회적 자원과 물적 조건에 대한 대안적인 통로를 의미한다. 특히 복지권과 같은 적극적 권리는 단순히 기회에 뿐만 아니라 조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따라서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사람들은 그들 자신을 사회적 약자 또는 피박탈자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현실적으로도 그들은 기회와 조건에 대한 불평등 상황에 놓여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권리는 법적 혹은 관습적 지위에 의해 개인에게 특정한 수용능력을 부여했기 때문에 중요하다.
참고 자료
김기원. (2000). 공공부조론, 학지사, 서울
김미혜 외. (2002). 한국인의 복지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50호
김유성. (1999).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서울
김융일, (1986). 사회복지개념정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집, 성신여자대학 인간 및 복지연구소
김철수. (2001). 헌법학개론, 박영사. 서울
노기남. (2006). 사회복지법과 공행정의 체계정립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대학원
송주한. (2006). 장애인 부모의 권리의식에 관한 연구-정신지체인 부모를 중심으로, 석사학 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도시과학대학원
신섭중. (1993). 한국사회복지정책론, 대학출판사, 서울
안치민. (2003). 복지권의 구성과 성격,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55호
유팔무. (2002). 한국시민사회의 형성과 변천: 이론적 재조명, 열천 임희섭교수 정년 퇴임기념 논문집간행위원회, 사회운동과 사회변동, pp.229-261
윤찬영. (2004). 사회복지법제론, 나남출판, 서울
윤찬영. (2005). 기본적 인권으로서 복지권의 이해, 복지동향 통권 제79호
이봉철. (2001). 현대인권사상, 아카넷, 서울
인권운동사랑방 사회권위원회. (1999). 인간답게 살 권리, 사람생각,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