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냉전시대의 일본의 대외정책
1. 대외정책의 기본방향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이후 40여 년간 지속되었던 일본의 국가전략은 ‘요시다(吉田) 노선’으로 알려진 ‘경무장-경제 우선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조성렬 (1996), 일본의 21세기 국가전략과 한반도, 통일문제연구: 하반기호, pp196
태평양 전쟁과 미군점령 이후 일본은 ‘평화국가’ 이념에 따라 ‘평화헌법’을 제정하고 전쟁과 군대를 포기하였으며 일본 내의 안보만 책임지는 자위대를 보유하도록 했다. ‘평화국가’이념에 따른 일본 외교의 특징은 비군사적인
Ⅳ. 결론
냉전종식이라는 세계질서의 개편을 기회로 일본은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가전략을 이전의 수동적 대외정책에서 적극적 대외정책으로 전환했다. 과거 공산진영과의 대립을 위해 만들어진 미일안보동맹은 냉전 후 소련의 붕괴로 없어진 것이 아니라 중국을 견제하고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더욱 강화되어 왔다. 탈냉전 이후 세계는 민족주의와 다자주의적 성격이 더욱 짙어졌으며 패권국가인 미국이 세계질서를 다스리는 데는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미국은 일본에 안보부담을 요구하였고 일본은 강한 일본의 야망을 꿈꾸며 미국과 함께 세계질서에서 주도자 역할을 하려고 한다. 현재
· ※ 참고문헌
· 이승철 외, 2004, 21세기 동북아 국제관계와 한국, 나남출판
· 김성철, 2007, 일본외교와 동북아, 한울아카데미
· 정형근, 2007, 21세기 동북아 신국제질서와 한반도, 엔북
· 소치형 외, 2006, 남북한과 동북아 국제관계
· ※ 참고논문
· 이준엽, 2003, 주변4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통일정책방향, 경희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 신정화, 2001, 21세기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北韓 2월호, 北韓, pp.66-71
· 백경남, 2004,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일본의 대응:북핵문제와 다자안보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4권. 제2호, pp.1-20
· 조성렬, 1996, 일본의 21세기 국가전략과 한반도, 통일문제연구, 하반기호(통권 제26호), pp.194-216
· 송주명, 2001, 탈냉전기 일본의 동아시아정책과 한반도 정책:‘아시아주의’와 ‘친미 내셔널리즘’의 동요, 일본연구논총, 제14호, pp.1-31
· 이수석, 2002, 한반도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과 우리의 통일외교전략, 통일전략, 제2권. 제1호, pp.121-143
· 양기호, 2009, 일본의 동북아정책과 한반도, 코리아연구원, 특별기획 25-3호, p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