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
- 최초 등록일
- 2010.01.05
- 최종 저작일
- 2009.03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800원
소개글
북한문학, 문예이론, 시기적 작품, 주요작가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북한의 문예 이론
Ⅲ. 북한 문학의 시기적 구분
(1) 1945년~1960년의 작품
(2) 1960~1980년의 작품
(3) 1980~1990년대 후반의 작품
Ⅳ. 북한의 위대한 작가들
1. 이기영
2. 한설야
3. 박태원
4. 조기천
본문내용
북한문학이란 북한이라는 정치, 사회 체제 아래서 쓰이고 읽혀 온 문학이다. 남한의 우리들은 북한문학을 남의 것으로 밀어 놓음으로써 이 점을 오랫동안 잊은 채 지내왔다. 남한과 북한은 남남일 수 없기 때문에 남한의 우리는 북한 문학을 읽어야 한다. 분단 체제의 변화와 극복이라는 명제는 새 시대의 가장 중대하고 핵심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지만 그동안은 서로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48년 분단체제의 고착화 이후 남·북의 문학은 각각 서로에게 접근불가능의 금기로 여겨져 왔다. 해방 이후 월북한 작가들은 모두 복자(伏字)로만 접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작품은 월북 이전의 작품들까지도 모두 터부시 되어 왔다. 그러나 이같은 금기는 80년대 이후 국내, 외적 정치상황의 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북한의 거의 모든 문인들이 해금된 상태이며, 심지어는 북한 내에서 간행된 원전들조차도 국내에서 상당수 손쉽게 구해 볼 수 있는 정도로까지 유연해진 상황이다.
이같은 변화는 비록 늦었지만 상당히 빠르게 진척되어 가고 있다. 이제 누구도 이같은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으며 결코 거슬러서도 안될 일이다. 오히려 이같은 변화는 더욱 촉진되어야 할 일이다. 정치와 경제 부문에서 마련되기 어려운 접촉과 결속의 마당이 여기서 쉽게 펼쳐질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기실 이 부문의 정신적 교감과 문화통합의 시도는 남북의 미래를 하나로 묶어 나가는 데 하나의 시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족 문화예술 그리고 민족 통합의 꿈을 상정하는 문학은 남·북간에 공동체적 의식의 구조를 확장해 나가는 한편, 우리가 남한문학을 더 큰 문맥 안에서 보게 하는 거울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북한문학의 흐름을 시기적으로 살펴보고 북한의 위대한 작가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1, 청동거울, 1999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2, 청동거울, 1999
신형기·오성호,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 역락,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