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반세기를 읽고 정리
- 최초 등록일
- 2009.12.22
- 최종 저작일
- 2009.12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문화인류학회에서 쓴 문화인류학반세기란 책을 읽고 발표하기 위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01. 한국 인류학자의 한국 문화 연구 - 한국 인류학에서 가족ㆍ친족 연구의 성과, 함한희
목적 : 한국 인류학계에 발표된 가족과 친족분야의 연구에 대한 성과 회고
내용 : 연구의 시대별 흐름
년대
연구 주제
대표 연구
내 용
한계점
1960년대
후반
가족제도, 동족(씨족)부락, 조상숭배
‘동족부락 구조’, 김택규
‘한국 가족제도’, 이광규
양반집성촌과 상류가족을 중심으로 구조적 원리 파악,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문화적 ‘기초체계’, ‘문화원리’를 밝히려 함.
사회관계분석시, 규범적인것만 대상(규범과실제차이)
1970~
1980년대
동족과 비동족 마을의 사회구조적특징비교, 상속 및 출계율에서 보이는 한국 가족제도의 특성, 조상숭배로 나타나는 사회조직의 원리, 통혼권, 친족호칭체계
제도와 원리탐구 만을 중시하는 접근방법(실천제외)
년대
특징적 이론과 방법론 및 주제
대표연구
1980년대
1. 다양한 계층의 일상적인 실천행위로서의 가족과 친족의 문제를 다루게 됨
2. 가족과 친족이 정치, 경제, 종교 등과 긴밀한 연관이 있음이 연구에 반영
3. 인접 학문분야와의 교류
4. 국가의 개발정책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조사 시작
5.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학적 논의 / 여성 역할의 다양성과 주체적인 여성의 삶 강조
2. ‘조상의례에 대한 연구’, 로저 자넬리-임돈희
4. 충주댐, 안동댐 등 수몰지역 조사로 가족의 위기, 변화 조망
5. ‘한국의 남성과 여성’, 조한혜정
1990년대
1. 가족의 변화를 문화적인 특성으로 이해
2. 핵가족보편설->전통가족 해체설
3. 조상숭배의례의 차이는 사회적-문화적 맥락과 깊은 관련 지적
2000년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