薛聰 字聰智 祖談捺奈麻 父元曉 初爲桑門 掩該佛書 旣而返本 自號小性居士.
설총의 자는 총지로 그 조부는 談捺奈麻이고 그 부친은 원효인데 원효는 처음에 중이 되어 佛書에 該博하였으나 다시 속인으로 돌아와서 스스로 소성거사라 이름하였다.
聰 性明銳 生知道待(待 趙炳舜本作術) 以方言讀九經 訓導後生 至今學者宗之. 又能屬文 而世無傳者 但今南地 或有聰所製碑銘 文字缺落不可讀 竟不知其何如也.
설총은 성질이 明銳하고 나면서부터 도리를 깨달아 알았으며 방언으로 구경을 풀어 읽게하여 후생들을 훈도하였으므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학자의 조종으로 삼는다. 또 문장이 능하였으나 그러나 세상에 전하는 것이 없고 다만 지금 남쪽 지방에 혹 설총의 지은 비명이 있는데 문자가 결락되어 가히 읽을 수 없으므로 마침 그것이 어떤 뜻인지 알지 못한다.
神文大王 以仲夏之月 處高明之室 顧謂聰曰 今日宿雨初歇 薰風微涼 雖有珍饌哀音 不如高談善謔以舒伊鬱 吾子必有異聞 蓋爲我陳之
신문대왕이 중하월에 고명한 방에 처하여 설총을 돌아보고 말하기를 “오늘은 오래 오던 비도 개이고 훈풍이 서늘하게 불어오니 다만 진찬이나 서글픈 음악을 듣는 것보다도 高談善謔으로 울적한 마음을 푸는 것이 좋을 것 같으니 그대는 꼭 기이한 이야기를 들었거던 다 나에게 이야기 하여 달라”
聰曰 唯, 臣聞昔 花王之始來也. 植之以香園 護之以翠幕 當三春而發艶 凌百花而獨出 於是 自邇及遐 艶艶之靈 夭夭之英 無不奔走上謁 唯恐不及.
설총은 말하기를 『신이 옛날 花王이 처음으로 온 이야기를 듣사오매, 이를 향기로운 花園에심고 푸른 막으로써 보호 하였는데, 三春佳節을 당하여 예쁜 꽃을 피우니 온갖 꽃보다 유달리 뛰어났다 합니다. 이에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탐스러운 靈氣와 요요한 향기를 풍기므로 온갖 꽃들은 분주히 花王을 뵙고자 하였아오나 오직 뜻을 이루지 못할까 두려워 하였다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