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역학 레포트로 중국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이론들을 소개하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중국관련 이론들을 분석한 자료.
중국위협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중국의 외교정책, 한반도 정책, 북핵문제,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중국을 분석한 이론 등
중국이란 나라를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게 해주는 자료.
중국의 한반도 정책
중국의 국가 전략
중국의 사회주의
중국위협론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본 중국
본문내용
先去後來
중국의 입장 분석
북한 핵 및 미사일 문제
남북한이 대량 살상 무기를 보유하는 것에 반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서
대화와 협상 을 권장.
전반적으로 한국과 일치,
하지만 동맹국인 북한과의 관계와 구체적으로
관련될 때는 한국의 입장과 분명히 차이를 나타냄.
중국의 입장 분석
한반도 평화체제 및 통일문제
행사하려는 의도가 큼.
포괄적 대북 포용정책을 지지.
남북한 합의에 의한 자주적 평화통일을 지지.
분단을 통한 이익을 추구하려는 경향.
중국의 입장 분석
재중 탈북자 문제
단속과 강제송환
민진당의 양안관계 구상
‘당강 기본강령 수정안’
“반드시 대만의 모든 사회구성원의 민주적 투표방식에 의해서 결정되어야한다”
민주적 절차에 따라서 국민의 뜻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될 정치적 사안으로 인식
중국 2005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4가지 원칙(胡四点)을 제시, ‘반국가분열법’통과
롄잔(連戰) 주석북경방문(2005, 2006년)을 통해 후진타오 주석과의 회담을 성사
06. 양안관계 2000년대
“2008년 마잉주 정부(국민당) 출범”
중국
‘조화로운(和諧) 사회’·‘소강(小康)사회’건설을 목표
대만과의 인적·물적 교류 확대를 통한 대만경제의 중국경제에 대한 편입 내지는 양
과의 적극적인 교류협력 의지를 표명
대만
‘신 3통’ 정책 :직교역, 물적 인적교류,우편교류
3불정책: 중국과
참고자료
· 중국의 세계전략 – 예쯔청
· 중국의 국가대전략 연구 - 이희옥 2007
· 중국 국가대전략의 구상체계와 조건 - 이희옥 2006
· 중국의 매력공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석희 2008
· 중국 대국외교의 형성과정과 그 `제한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소준섭 2007
· 후진타오체제 중국 경제외교와 대외전략적 함의 - 신종호 2006
·
· 국민당의 재집권과 대만의 대내외 정책 변화 전망 - 문용호 2008
·
· 총통선거와 양의관계, 대만의 미래 - 강준영
·
· 대만 총통선거 이후 양안관계 전망과 지역안보상의 함의 - 황재호 2004
· www.asia.wsj.com
· 毛澤東思想과 마르크스주의-M.마이스너
·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 M.마이스너
· 현대중국정치론 – (나담출판) 서진영
· ‘중국공산당의 힘 : 개혁개방기 중국공산당과 권력구조의 변화’ (논문)
· 고등학교 ‘윤리’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 김태호 外, 『중국 외교연구의 새로운 영역』, 나남, 2008
· 한석희,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폴리테이아, 2007
· Mosher, 『Hegemon :China`s plan to dominate Asia and the world 』, 모티브, 2003
· 김강녕, <동북아 국제정치와 한반도> (신지서원, 2002)
· 김동성, <중국대외정책론> (법문사, 1992)
· 김세웅,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국> (고려원, 1999)
· 서진영, <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 (고려대학교연구소, 2000)
· 김영문, <중국외교론> (대왕사, 1993)
· 김정계, <21C 중국의 선택> (평민사, 2000)
· 김한규, <한중관계사> (아르케, 1999)
· 김태호,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질서 변화: 한국의 중장기 전략> (세종연구소, 199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