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혈류의 조절
- 최초 등록일
- 2009.12.16
- 최종 저작일
- 2009.1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인체내 필요에 따른 혈류량의 조절 기전과 혈류량을 조절하는 인자들.
목차
Ⅰ. 내인성 조절(체액성 조절)
1. 화학적인 영향
(1) 국소적인 대사작용의 변화
(2) 히스타민 분비에 의한 혈관확장
2. 물리적인 영향
(1) 열기와 냉기
(2) 근육의 신축성(혈관의 장력)에 의한 작용
(3) 반응성충혈
(4) 혈압 자가조절에 의한 작용
1.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절
(1) 교감신경(혈관수축신경)
(2) 부교감신경(혈관확장신경)
2. 호르몬에 의한 조절
(1)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영향
(2) 바소프레신과 안지오텐신Ⅱ의 영향
본문내용
국소혈류의 조절은 혈관의 내경을 확장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세동맥의 혈관벽은 신축성 결합조직이 적은 대신 교감신경 섬유가 발달되어 있는 두터운 평활근 층이 존재하여 국소의 화학적 변화와 순환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혈관의 내경 변화가 잘 일어난다.
세동맥의 혈관벽은 변화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1) 평균혈압을 떨어뜨려 압력차를 형성하여 심장에서부터 각 장기로 혈액을 흐르게 한다. 2) 세동맥의 혈관저항은 동맥의 수축이완을 반복하는 파동성혈압을 모세혈관의 변동이 없는 일정한 압력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3) 각 장기의 세동맥의 혈관저항은 신체의 순간적인 필요량에 따라 전신의 장기에 심박출량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호르몬에 의한 조절
몇 개의 호르몬 또한 세동맥 혈관 반지름에 있어서 외인성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교감신경계의 작용을 강화시키는 부신수질 호르몬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호르몬인 바소프레신과 안지오텐신Ⅱ가 이러한 호르몬에 속하게 된다.
(1)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영향
부신수질의 교감신경계 자극은 이 내분비선에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일으킨다.
교감신경계가 탈분극하는 동안, 에피네프린은 심장과 골격근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고 조직의 혈관 이완의 국소기전을 강화시키게 된다. 소화
참고 자료
「生理學」 라이프사이언스
「운동 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인체생리학」 현문사 신문균, 조원순 공저 1997년 서울시
「해부생리학」고문사 이한기, 권봉숙, 김종대, 나명석, 오현주, 이혜영 2003년 서울시
「生理學」신광출판사 강두희 1992년 서울시
「인체생리학(제4판)」고문사 이석강 2005년 서울시
「生理學」고문사 김정진 1994년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