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림 생태계 군집 조사
- 최초 등록일
- 2009.12.14
- 최종 저작일
- 2007.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본 실험은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위치한 공주대학교 내 체육관 앞 야산에서 4인 1조로 2007년 04월 19일에 실시되었다.
목차
1. 서론
2. 일시 및 조사지 개황
3. 재료 및 방법
4. 데이터 수집
5. 실험결과 및 논의
6. 느낀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군집은 특정한 지역이나 특정한 물리적 장소에서 생활하고 있는 개체군의 집합체이다. 이는 조직화된 하나의 단위이며, 구성 요소인 개체나 개체군의 특성과는 다른 새로운 특성을 갖추고, 통합에 의한 물질대사의 재편성을 통하여 단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박승조 외, 1992). 군집에는 식물군집과 동물군집이 있는데 이 중 식물군집은 층위구조(stratification)에 따라 교목층(10m 이상), 아교목층(3m~10m), 관목층(1m~3m), 초본층(1m 내외) 등으로 구분한다.
어떤 지역 안에서 시간에 따른 종들의 방향적이고 계속적인 변화를 천이(succession)라고 한다. 식생의 조성과 형태에 변화를 보이는 이러한 생태학적 천이는 대게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것으로 변화한다(Allan M. Jones, 2001). 천이는 때때로 가역적이기도 한데, 자발적 천이, 타발적 천이, 분해 천이가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논의된 천이는 자발적 천의이다. 자발적 천이는 일차 천이와 이차 천이가 있다. 일차 천이는 생물이 점차적으로 표면을 점유해가는 황무지에서 일어나 황무지를 변화시킨다. 이차 천이는 존재하는 군락의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방해로 인해 시작한다. 천이는 초본층에서 관목층으로 관목층에서 교목층으로 이르는 과정을 거친다.
이번 실험에서는 교목층(아교목층)을 중심으로 삼림군집의 층위구조를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조사지에 일어날 천이의 방향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방법적으로는 방형구법(quadrat method)을 이용하였고, 수목의 피도는 직접 구할 수 없으므로 DBH(흉고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구하였다.
2. 일시 및 조사지 개황
본 실험은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위치한 공주대학교 내 체육관 앞 야산에서 4인 1조로 2007년 04월 19일에 실시되었다.
조사지역 내에는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왕벚나무 등의 교목층과 씀바귀, 제비꽃, 대사초, 뱀딸기, 매화노루발, 산괴불주머니, 애기며느리밥풀 등의 초목층이 있었다. 그 외에 아까시나무와 떡갈나무등의 관목층도 발견이 되었다.
참고 자료
1. 도서명: 환경생물학
2. 저자: Allan M. Jones
3. 발행 연도(발행판): 2001년 (초판)
4. 참고페이지: p.227-p.229
5. 출판사: 서울 신광 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