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초등학교 체육과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최초 등록일
- 2009.12.13
- 최종 저작일
- 2009.12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초등 교육 대학원 전공때 연구하였던 연구물입니다
여러 교수님께 검토 받았으며, 최고의 질을 보장합니다.
대학원생이나. 열심히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학습자의 개별인 자가평가를 통한 체육학습 효과
2. 학습자의 집단별 자가 평가를 통한 체육학습 효과
3. 자유 기술 수업 소감문을 통한 체육학습 효과 분석
4. 교사의 수업 반성 일지 분석
Ⅳ. 요약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체육은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지․덕이 조화된 전인적인 인간으로의 발달을 도모하는 교과이다. 즉, 교육의 일반 목적 내에서 합리적이고 의도적인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력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발달을 이룩함으로써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증진시키며, 행복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교육부, 1999). 그러므로 학교 체육을 지도하면서 많은 노력과 동시에 기울여야 할 점은 학생들로 하여금 신체 활동을 좋아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즉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을 사랑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것이 체육의 가장 바람직한 목표라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교육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강신복, 최의창, 1994).
제7차 교육과정 3, 4학년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필수 활동으로 체조 11차시, 게임 32차시, 표현 11차시, 보건 21차시를 학습하고 선택 활동으로 체조 9차시, 게임 9차시, 표현 1차시를 선택하여 총 94차시를 학습하며 이중 41차시가 게임 활동으로 편성되어 약 43%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로 진행되는 현장 수업 중에서는 대부분이 게임 수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게임 영역은 게임 활동의 획기적인 질적 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능중심 모형의 대안적 모형으로 제시된 이해중심 모형(the game for understanding model)을 채택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교육부, 2003).
새로운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은 지금의 사회 방향이나 성격의 변화를 크게 의식한 평생 스포츠적인 시점에서 운동이라는 의미와 기능을 운동특성(욕구나 필요)의 충족과 관계 지워 자발적 자주적으로 학습해 가는 체육이 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자발적 자주적인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체육과 같은 운동의 기술적인 측면을 중시한 기술중심의 체육 혹은 체력적인 측면을 중시한 수단적인 체육이 아니라, 운동에 관계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나 필요에서 운동을 기능적으로 받아들이는 운동목적 내용 면의 시점에서 새로운 체육으로 나아갈 것을 바라고 있다.
참고 자료
강신복․최의창(1994). 체육 수업 탐구. 서울 : 태근문화사.
교육부(1999).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교육부.
(2003).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김영수(1990). 아동 체육수업모형의 기저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1996). 체육과 교수법과 교재연구. 서울 : 교육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