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중세 국어의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뉜다. 그중 격조사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속격, 부사격, 호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격조사란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 아래에 붙어서, 그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이 문장 안에서 다른 말에 대하여 가지는 자리를 나타내는 조사로, 조사는 의존형태소로서, 어휘적인 의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문장에서 주로 체언에 결합되어 쓰인다.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조사 중에서도 격조사의 종류를 중심으로 하여 중세의 표기법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2. 격의 종류
(1) 주격조사
(가) 주격조사의 종류
중세국어의 주격조사는 그 기저형이 ‘이’인데, 선행체언의 음운론적인 조건에 따라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체언어간의 말음이 자음일 때는 ‘이’로 실현된다.
미 기픈 므른 (용비어천가, 2)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 (훈민정음)
둘째, 체언 말음이 ‘이’(i)나 ‘ㅣ’(y) 이외의 모음일 때는 ‘ㅣ’(y)로 실현된다.
부톄 니러
(7) 호격조사
(가) 호격조사의 형태
호격조사란 어떤 인물을 부를 때 사용되며 조사로는 ‘아’와 ‘하’가 있다.
첫째, ‘하’는 화자가 윗사람을 부를 때 나타나는 것으로 존칭의 호격조사다.
님금하 아쇼셔
아바과 …大王하 내 이제 부텻긔 도로 가 供養 지다
둘째, 존칭을 호격조사 ‘하’가 쓰이지 못할 경우에, 곧 같은 신분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부를 경우에는 ‘아’가 사용된다.
大王아 네 이 두 아 보다 몯 보다
부톄 니샤 阿逸多아…네 이대 드르라
셋째, ‘아’는 모음 뒤에서는 ‘야’로도 나타난다. 이 ‘야’는 동일원문의 번역이 ‘야’, ‘여’로 되기 때문에 ‘여’와 수의적으로 교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톄…니샤 阿逸多야…네 이대 드르라
得大勢야 네 데 엇더뇨
부톄 니샤 올타 올타 네 말 니라 文殊師利여
cf) 중세국어에서 동일 인물이라 하더라도 화자와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