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척사 사상 - 이항로, 기정진, 김평묵
*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이 리포트는 한국사상사, 또는 사학과 발표수업과 관련하여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위정척사사상의 전개를 18세기 후반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전개되는 과정을 서술하였으며 위정척사의 대표자인 이항로, 김평묵, 기정진의 이기론, 사상, 사회개혁등을 서술하였습니다.목차
1. 머리말2. 척사론의 전개
1) 18세기 후반 노론 척사론의 양 계열
2) 19세기 초반의 척사론 - 노론의 주도
3) 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3. 생애
1) 이항로
2) 김평묵
3) 기정진
4. 이기론
1) 이항로 - 理主氣客論
2) 김평묵 - 華西心說補充
3) 기정진 - 理一分殊論
5. 척사론
1) 이항로 - 斥和主戰論
2) 김평묵 - 倭洋一體論
3) 기정진 - 洋物禁斷論
6. 사회개혁론
1) 이항로
2) 김평묵
3) 기정진
7.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대내적으로 척족에 의해 권력이 독점되는 세도 정치가 지속되고, 엄격한 신분 질서와 가치체계가 동요하던 19세기 중반의 조선사회는 성리학의 가치체계가 굴절된 모순,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다.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성리학적 가치체계는 세도정치로 인해 이념적 정당성에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고, 성리학적 지배질서의 상대적 효율성도 저하되고 있었다. 특히 관리들의 부정부패와 수취체계의 왜곡, 그리고 이에 결과된 백성들의 궁핍 및 농촌경제의 피폐는 일종의 집단 불안을 형성하였고 백성들의 봉기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대외적으로는 19세기 후반 서양 열강이 자본주의와 민족주의를 완성한 뒤, 상품시장과 원료공급지를 얻기 위해 아시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1842년 아편전쟁을 통해 청을 굴복시켰고 미국도 무력으로 미 · 일 화친조약을 체결해 문호를 개방시켰다. 우리의 경우에도 1832년 최초로 영국상선인 로드 암허스트(Lord Amherst)호가 통상을 요구하였고, 그 후 1845년 프랑스의 세실(cecile)이 기해박해 때의 프랑스 신부 처형에 대한 책임을 따지며 역시 통상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그밖에도 러시아. 독일, 미국이 통상을 요구해 오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국민부강을 꾀하려는 개화사상과 보수적인 양반사회에서는 위정척사사상을 굳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주제는 조선 후기 척사론의 전개 과정과 위정척사의 대가인 화서 이항로와 그의 제자 중암 김평묵, 그리고 노사 기정진에 대하여 생애, 이기론, 척사론, 사회개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 척사론의 전개
1) 18세기 후반 노론 척사론의 양 계열
조선에서 본격적인 척사론은 1780년대에 들어 기호 남인 권철신 계열에서 천주교 신봉자들이 등장하자 그에 대한 남인 내부의 대응으로 형성되었다. 남인의 천주교 신봉은 이미 정계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었지만 정조의 배려로 겨우 조정되고 있는 상황이었으므로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쟁점화될 소지가 다분하였다.
참고 자료
강대덕, 「화서 (華西) 이항로 (李恒老)의 생애와 사상기반 (思想基盤)」,『관동사학 Vol.2』, 관동사학회, 1984.권오영, 「김평묵의 척사론과 (斥邪論) 연명유소 (聯名儒疏)」,『한국학보 Vol.15』, 일지사, 1989.
김근호,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낙론(洛論)의 심설(心說)에 관한 화서 이항로 의 비판적 검토」,『한국사상과 문화 Vol.4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______, 「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호론(湖論) 심설(心說)에 대한 비판(批判)」, 『공자 학 Vol.14』, 한국공자학회, 2007.
______, 「김평묵과 유중교의 심설논쟁에 대한 소고」, 『한국사상사학 Vol.27』, 한국사상 사학회, 2006.
김봉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사상의 형성과 위정척사운동(衛正斥邪運動)」,『조선 시대사학보 Vol.30』, 조선시대사학회, 2004.
김형찬, 「위정척사론의 저항적 민족주의와 국민국가 체제 이후의 문화중심주의」, 『철학연 구 Vol.31』, 조선시대사학회, 2006.
노대환,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조선시대사학보』, 조선시대 사학회, 2008.
박성순, 「화서학파(華西學派)의 성장(成長)과 중암(重菴) 금평묵(金平默)의 역할(役割)」, 『대동문화연구 Vol.61』,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박학래, 「호남유학의 현대적 조명 ; 노사 기정진의 현실인식과 사회개혁론 -위정척사론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 Vol.36』, 동양철학연구회, 2004.
안외순, 「척사위정(斥邪衛正) 이념의 구조와 성격: 대원군과 화서학파의 주장을 중심으로」, 『동방학 Vol.1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8.
우홍준, 「구한말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정치사상」, 『한국행정사학지』, 한국행정사학 회, 2008.
이상익,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주리론(主理論)과 퇴계학」, 『퇴계학보 Vol.117』, 퇴계학연구원, 2005.
이원영, 「이항로의 존화양이론 : 이론적 구조」,『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0』, 한국정치외 교사학회, 1998.
이이화, 「척사위정론의 비판적 검토 - 화사 이항로의 소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Vol.18』, 한국사연구회, 1977.
이재석, 「조선조말 위기의 지식인, 김평묵의 정치사상」,『동양정치사상사 Vol.2』, 한국동 양정치사상사학회, 2003.
이희재, 「노사(盧沙) 기정진(奇正鎭)의 유교의례관」,『유교사상연구』, 한국유교학회, 2008.
제정관, 「한국전통의 선비정신과 현대적 전승: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윤리연구Vol.72』, 한국윤리학회, 2009.
황하준,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한시(漢詩) 연구(硏究)」,『한문교육연구 Vol.32』, 한 국한문교육학회, 2009.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사회과학]19세기 존화사상의 전개와 척사론의 성격 4페이지
- [인문 역사학] 척사론과 그 성격 3페이지
- 위정척사운동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