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장애인의 결혼
1. 장애의 개념
2. 장애인의 정의
3. 장애인의 결혼
4. 장애인의 결혼실태
5. 장애인, 결혼 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6. 장애인의 결혼조건
Ⅱ. 장애인의 자녀교육
1. 장애인의 자녀실태
2. 장애인의 소득과 교육정도
3. 장애인의 자녀교육시 애로사항
4. 장애인의 자녀교육
본문내용
장애인의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복지법’을 비롯하여 13개의 장애인 관련 법률들이 각각의 목적에 따라 제정되어 있으며, 다른 법률에서도 장애인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법률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애의 정의가 다르다.
대표적인 법률인 ‘장애인복지법’ 제2조(장애인의 정의)에 의하면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이 법의 시행령에서 정한 장애의 종류에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뇌병변장애, 정신장애, 발달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질장애, 간장애, 안면장애, 장루·요루장애, 호흡기장애 등 15개 유형화로 제한되어 있으며 장애 등급은 각 장애 종류별로 1~6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등록장애인 현황을 보면 2005년 1,699천명에서 2008년 2,137천명으로 3년 사이에 등록장애인 수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 438천명이 늘어나 전체 25.8%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부터 5년 주기로 장애인 실태조사를 실시해 왔으나 2007년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3년마다 장애인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2008년 일곱번째 장애인실태조사가 실시되었다. 장애인등록제도 도입 초창기인 1988~1992년은 전체의 4.8%만이 등록하였으며, 1993~1997년은 전체의 5.5%, 1998~2002년은 전체의 31.1%, 2003~2008년은 전체의 58.6%의 장애인이 등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시기가 지날수록 장애등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장애인 등록으로 인한 각종 혜택에 대한 인지향상, 장애범주의 지속적 확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 등의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보건사회연구원, 2009).
참고자료
· 강영주. (2009). 교육소외계층의 교육지원방안, 석사학위논문, 대두대학교교육대학원
· 김동배·권중돈. (2000).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 실천, 학지사, 서울
· 김정미. (2001). 시각장애 청소년의 결혼관,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 김성희. (2005). 장애인 생활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 김혜선·이재림. (2004). 30대 중후반 기혼남녀의 배우자 선택과 결혼생활의 의미, 가족과 문 화, 16(2): 3-54
· 박수선. 1(990). 결혼 에세이, 민맥: 서울
· 백상욱. (2005). 장애인의 성의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정책 대학원
· 보건복지가족부. (2008a). 2008년 성재활 전문요원반 재활전문요원 교육교재
· 보건복지가족부. (2008b). 2007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현황
· 보건사회연구원. (2009). 2008년도 장애인실태조사서
· 서울디지털대학교. (2008). 기초생활수급 대상 장애인에 대한 근로유인 지원방안 연구
· 유명이. (2005). 「정신장애인의 결혼 유지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 학교대학원
· 이정선. (2007). 여성 장애인의 가사 및 육아지원 도우미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임은자. (1998). 미혼지체여성장애인의 결혼의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효 성가톨릭대학원,
· 장애란. (2007). 정신지체인의 결혼과 임신, 경원사회복지회 세미나 자료
· 조수동. (2001). 장애인 결혼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구, 재활연구, 장애인재활협회
· 주정옥. (1990). 미혼지체장애인의 결혼에 있어서 사회사업적 서비스의 필요성, 숭실대학교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인숙. (2008). 기혼 지적장애인의 특성과 사회적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행정 대학원
· 통계청. (2009). 2008년 혼인통계
· http://www.mohw.go.kr. 2007년 장애수당 지급현황
· Young, S. L., & Ensing, D. S. (1999). Exploring recovery from the pers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2(3): 219-23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